[투데이코리아=서소영 기자] 한국 노인이 노후빈곤에 허덕이는 나머지 늙어서도 일하지 않고서는 생활을 유지하기 버겁다는 분석이 나왔다.

20일 국민연급연구원 이순아 박사는 '노인가구의 소득수준과 공적 노후소득보장의 국가 간 비교' 고보서를 공개했다.

이 박사는 노르웨이, 핀란드, 네덜란드, 독일, 미국, 영국, 호주, 대만 한국 등 12개국의 노인가구 소등수준을 비교 분석했다.

65세 이상 노인가구의 상대 빈곤율(중위소득 50% 미만)은 한국이 46.9%로 가장 높았다. 노르웨이(1.5%), 덴마크(1.7%)는 물론 미국(19.3%)과 대만(26.6%)보다도 훨씬 높은 수치다.

노후소득의 구성에서도 한국, 대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이전소득이 70% 이상을 차지했다. 특히 선진국들은 연금과 공공부조급여 등 공적 이전소득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한국의 이전소득 비중은 48.6%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특히 사적이전소득이 19.8%로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노인과 자녀의 동거비율이 높고, 가족부양 책임에 대한 전통이 강하게 이어지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한국은 노인의 근로, 사업 소득 비중이 49.9%로 거의 절반에 달했다.

조사 대상국 가운데 가장 높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늙어서도 일을 계속 해야 생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보고서는 한국이 아시아에선 경제적 수준이 꽤 높지만 아직 복지체제가 미흡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서구의 복지선진국과 비교할 경우 근로, 사업소득의 비중이 높고, 공적이전소득의 비중이 낮은 현실은 노인의 소득보장에서 개인과 가족의 책임이 더 크게 지워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이 박사는 "빈곤에 처한 노인들이 모두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공공부조대책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