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민, 원전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신뢰해야 해"

[투데이코리아=서소영 기자] 경북 영덕 천지원전이 신규원전 건설지로 확정되면서 이를 반대하는 단체와의 갈등이 소강되지 않으면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신규원전 예정지역으로 확정된 영덕읍 노물리, 석리, 매정리 일대에는 324만㎡에 2029년까지 150만㎾급 신형원전 2기가 들어설 예정이다.

하지만 영덕군 내 일부 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은 강하게 반발하면서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반발이 심화되자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수원은 '영덕군 발전을 위한 10대 사업 제안'을 내놓았다. 이는 정부가 원전 2기를 영덕에 건설하는데 따른 지역 발전 계획이다.

해당 ‘사업제안’서에 따르면 원전이 영덕군 내 건설될 경우, 소득 창출과 산업 발전을 위해 원전 온배수열을 활용한 100만㎡ 규모의 첨단 열복합단지가 조성되며 연매출 1000억 원 이상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지역 농·수산물의 판로 확대를 위해 친환경 인증시스템을 구축하고 영덕지역 관광자원 개발의 하나로 '원자력연수원'을 건립 계획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한수원 측은 ‘원전건설’과 관련된 루머에 대해서 해명하는 자료집을 냈다.

자료집에 따르면 `특산물과 지역 이미지가 타격 받는다`와 관련해 기존 원전지역인 영광 굴비의 지속적인 판매량 증가, 기장 미역의 높은 가격 형성, 전국 총 생산량 48%를 차지하는 울진 붉은 대게 생산량, 온배수 이용 어류양식이 활발해 특산물과 이미지는 전혀 타격을 받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원전 주변 암 환자가 많다`와 관련, 고리원전 주변 갑상선암 환자 발생 한수원 책임 판결은 재판부가 판단 근거로 서울대 역학조사보고서의 일부를 인용했으나 보고서 최종 결론은 원전과 주민 갑상선암 사이에 인과관계가 없다고 해명했다.

`다른 경제적 기회를 잃는다`는 내용은 정책적으로 육성한 산업도시와의 비교는 불합리하며 원전건설과 운영에 따른 인구 유입 등으로 재정자립도와 산업체 현황 등에서 비원전 지역보다 전반적인 증가세로 지역경제 활성화 시너지 효과가 크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자체와 한수원의 이러한 노력에도 원전 건설에 대해 반발하는 이들은 "핵 발전소는 지역의 미래가 달린 중대한 사안인데, 주민 의견을 무시한 채 밀어붙이기식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영덕에 핵발전소를 건설하겠다는 발상 자체가 잘못됐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근본적인 문제는 주민들이 ‘원전’에 신뢰도가 없는 상태로, 막연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일부의 생각만큼 원전 건설이 득보다 실이 많은 일이기만 할까?

한 예로 프랑스를 보면 알 수 있다.

프랑스 내륙의 트링카스탱 원전과 생 알방 원전 등 2곳을 들 수 있다. 이들 원전 모두는 프랑스 남부지방으로 흐르는 론강 물을 원전 냉각수록 사용하고 있다.

특히, 트리카스탱 원전은 돔형의 955㎿급 4기가로 운영되고 있지만, 원전 주변에 시가지가 형성돼 많은 주민이 생활하고 있는 상황이다.

눈여겨 볼 점은 이곳 주민 5만 명이 원전과 원전 관련 시설에 직·간접적으로 고용돼 일하고 있다는 것이다. 원전이 들어섬으로 해서 지역 주민들의 일자리 창출이 되고 있는 셈이다.

뿐만 아니라 원전이 들어설 경우 해당 지역의 생산되는 '특산물·농산물' 등에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생각과 달리, 트링카스탱 주민들은 원전 때문에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 판매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해 트리카스탱 원전 관계자는 "주민들은 원전의 모든 정보가 공개되고 신뢰성이 높은 만큼 대체로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믿음이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전 건설'은 그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주민들이 원전의 필요성을 얼마나 이해하고 신뢰하냐의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원전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버리고 그 필요성에 대해 인지한다면, 원전건설은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