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 위축시켜 시장 전체 심각한 불황 초래

[투데이코리아=이규남 기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 만에 다시 0%대로 주저앉자 '디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0.8%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4년 12월 이후 11개월 연속 0%대였다가 지난해 11월 1.0%로 올라섰다. 12월에는 16개월 만에 가장 높은 1.3%를 나타냈다. 하지만 이번에 다시 0%대로 주저앉았다.

이에 따라 경기침체 속에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D'(디플레이션) 공포 우려가 다시 살아났다.

설핏 물가상승률이 낮으면 낮을수록 좋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다. 지금의 저물가는 경기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물가도 함께 추락하는 형국이다.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시장 전체의 심각한 불황을 초래하는 '디플레이션'에 가깝다.

디플레이션 우려가 대두되는 것은 내수가 부진하기 때문이다. 물가가 하락할 정도로 소비가 위축되면 기업 이익이 감소해 투자 및 인건비 축소와 실업률 상승 등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에 빠진다. 침체가 심해지면 도산하는 기업이 속출하고,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가격도 폭락한다.

기업과 가계가 허약해지면 금융기관 또한 부실해 진다.

내수를 살리려면 서비스산업법을 비롯해 국회에 계류돼 있는 경제 법안들을 재빨리 통과시켜 양질의 일자리 창출 여건부터 마련해야 한다.

또한 디플레이션은 이미 여러 나라를 어려움에 빠뜨리고 있다. 그리스와 스페인, 불가리아 등이 디플레이션으로 신음하는 데 이어 이탈리아와 프랑스 등도 그럴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일본의 경우 장기 경기침체 과정을 겪으며 저성장의 시기를 보냈다. 한국이 이를 답습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저물가에 따른 경기침체는 소리없이 경제를 병들게 하는 주범이다. 소비와 투자 여력이 줄며 물가가 함께 떨어지는 것은 경제가 시나브로 말라가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처럼 국내 경기가 회복되지 않고 정부 또한 손을 쓰지 않으면 디플레이션 진입은 불을 보듯 뻔하다. 디플레이션 대응은 정부 하기 나름이다.

정부는 경기 상황을 민감하게 관찰해 디플레이션에 적극 대응하는 대책은 마련해 놓고 있어야 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