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유종만 기자] 남북 교류 협력의 보루였던 개성공단이 전면 중단된 지 반년이 됐다.

개성공단이 전면 중단된 지 6개월째인 11일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가 입주기업 피해에 대한 실질적인 보상을 정부에 요구했다.

피해를 입은 입주기업들은 정부의 대책이 미흡하다며 실질 보상을 촉구하고 있어 피해보상을 둘러싼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

11일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정부서울청사 정문 앞에서 실질피해 보상을 촉구하는 3차 집회를 열고 "개성공단이 전면 중단된 후 폐업과 해고 등 큰 고통을 겪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기업들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지원책을 마련하고자 노력한다고 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경영정상화는 요원하기만 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공단 중단 후 대통령은 국회에서 투자자산의 90% 피해보전을 이야기하고 6차에 걸친 정책을 발표하면서 기업인에게 지원을 주는 듯 홍보했지만 투자손실대비 턱없이 부족한 무이자 대출에 불과한 보험금뿐"이라고 호소했다.

협회 구성원 50여명은 11일 오전 11시 서울정부청사 정문 앞에 집결해 정부의 피해보상과 관련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서울시청 광장 동편까지 '특별법을 제정하라'는 구호를 제창하며 약 1.3km 구간의 거리 행진을 벌였다.

통일부는 지난 10일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에 대해 정책대출을 비롯한 1조원 규모의 지원방안을 강구해 시행 중"이라는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협회는 실제로 집행된 지원금은 1천600억원에 불과하고 그마저도 정책대출로서 피해 보상과 거리가 멀다고 비판했다.

비대위는 이날 집회에서 개성공단 폐쇄에 따른 기업들의 피해가 1조5천억 원 이상이라며 특별법 제정을 통한 정부의 피해보상을 요구했다.

정부는 비대위의 이런 주장에 대해 "개성공단 중단으로 인한 피해는 이에 대비해 마련된 보험에 의해 해결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특별법 제정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 올해 초 4차 핵실험에 이어 장거리 미사일 발사까지 단행하자 지난 2월 10일 대북제재 차원에서 개성공단 가동의 전면중단을 발표했고, 북한은 다음 날 개성공단 폐쇄와 공단 내 남측 인원 추방으로 맞대응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