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전략, 승패 관건을 분석한다

[투데이코리아=이주용 기자] 19대 대선의 해가 밝아왔다. 출마를 선언한 잠룡(潛龍)들은 1월 1일을 기해 저마다 고삐를 죄면서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인용 여부에 따라 조기대선은 현실화되기에 그 어느 해보다 치열한 대결이 펼쳐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승자는 향후 3년간(개헌 시) 대한민국 국정(國政) 컨트롤타워의 주인으로서 한국 안보, 외교 등을 이끌게 된다. 주요 대선후보 2인이 어떤 전략을 펼칠지, 승패 관건은 무엇인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12월 말 일부 대선 여론조사에서 1위에 올라선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여권(與圈)의 유력 대선주자다. 20% 이상 지지율을 꾸준히 유지하면서 선두를 다투고 있다.

현재로서는 반 총장의 새누리당 입당 가능성이 가장 높다. 친문(親文)계가 지도부를 장악하고 '문재인 대세론'을 밀고 있는 원내 제1당 더불어민주당 합류 가능성은 0%에 가깝다.

국민의당은 안철수 전 대표라는 대선주자가 버티고 있어 합류하기 어렵다. 국민의당으로서도 '안철수파' 탈당 시 의석수 감소라는 위험이 뒤따르기에 반 총장 영입을 쉽게 결정할 수 없다.

개혁보수신당(가칭)은 30석에 불과한 의석수가 걸림돌이 된다. 선거는 조직력이 사실상 큰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대권 그릇으로서는 다소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무성·유승민 의원 등 당내 수장이 2명인 상황에서 언제든 분열될 수 있다는 점도 발목을 잡는다. 수도권에서 큰 인지도를 얻고 있는 나경원 의원 합류 보류도 치명타다.

'신천지 연루설' 등 각종 네거티브성 루머에도 불구하고 반 총장 지지율은 사실상의 출마 선언 후 오히려 상승가도를 달리고 있다. 우리 국민이 '직업 정치인'에 얼마나 염증을 내고 있는지를 반영하고 있다.

외교관 출신인 반 총장은 '뉴페이스'인 점이 큰 강점이다. 유엔 수장으로서 10년간 국제사회를 경험한 경력도 무기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전세계가 동요하는 가운데 한국인으로서는 유일하게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과 대화할 수 있는 인물이 바로 반 총장이다.

당초 고령의 나이(73)가 지적됐지만 개헌으로 대통령 임기가 3년으로 단축될 경우 문제될 것은 없다. 반 총장 자신도 여전히 정력적인 대외활동에 나서는 등 건강상 문제가 없기에 나이 논란은 더 이상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변수는 끊이지 않는 루머다. 반 총장 출마선언 후 불과 1주일 동안 '박연차 뇌물설' '신천지 연루설'이 터져나왔다. 삼인성호(三人成虎)라는 고사처럼 거짓말도 여러번 되풀이되면 진실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현실이다.

반 총장은 귀국(1월 15일 예정) 후 길어봐야 반년이라는 선거 유세기간을 가질 수밖에 없기에 대응에 한계가 있다. 반 총장으로서는 반드시 넘어야 할 가장 큰 숙제인 셈이다.

그러나 '점잖은 노신사'의 이미지를 가진 반 총장이 같은 네거티브성 흑색선전으로 대응할 경우 유권자들에게 "결국은 똑같은 직업정치인"이라는 실망을 안겨 도리어 지지율 하락이라는 역풍을 맞을 수 있다.

유엔 수장으로서의 실무력을 강조하는 한편 새누리당·충청권 콘크리트 지지층의 표심을 확보하면서 중도층 공략에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반 총장이 새누리당에 합류할 경우 개혁보수신당도 새누리당과 합당, 적어도 연대할 수밖에 없기에 콘크리트 지지층 확보는 무난할 것으로 관측된다.


■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8주 간 대선 여론조사 지지율 1위를 고수한 이력이 있다. 20~30대 젊은층은 물론 호남에서도 적잖은 지지를 얻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를 친문계가 장악하고 있어 당의 조직적 지원을 얻는 것도 어렵지 않다. 故 노무현 대통령 재임 시절부터 대통령 비서실장, 당대표 등으로 언론에 자주 노출됐기에 오랜 기간 인지도를 쌓아왔다는 강점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10년간 해외 활동에 매진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박빙의 승부를 벌이고 있다는 점은 문 전 대표의 한계를 보여준다.

문 전 대표는 우선 불확실한 대북관(對北觀)이 발목을 잡는다. 문 전 대표는 12월 들어 "당선 시 북한에 먼저 갈 것" 등 발언으로 지지율 하락을 자초했다.

많은 국민이 연평도 포격사태, 북한 핵실험 등을 지켜보면서 안보에서는 보수적으로 돌아서고 있다. 리얼미터가 작년 9월 22일 발표한 북한 수해지원 여론조사 결과 호남에서도 과반 이상이 반대했다.

한국갤럽이 9월 23일 발표한 한국 자체 핵무장을 묻는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8%가 "찬성"이라고 답했다. 우리 국민이 더 이상 정치권 선전선동에 끌려다니지만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 결과였다.

여기에 2007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투표 당시 '북한 결재'를 받고 기권했다는 송민순 전 외교장관 증언은 여전히 뇌관으로 작용하고 있다.

추가 폭로가 터질 시 '참여정부 북핵 개발 책임론'까지 더해져 문 전 대표 대선 승리는 장담할 수 없다.

문 전 대표는 또 호남권과 지나칠 정도로 거리를 두고 있다는 점도 악재(惡材)로 작용한다. 故 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 전 대표는 "호남 사람들과 정치 못하겠다" 발언에 이어 김대중 정부의 대북송금 사태까지 캐내 호남과 척을 졌다.

이러한 현상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박지원 국민의당 의원과는 2015년 새천년민주당 당대표 경선 당시 신경전을 벌인 바 있다.

지금도 박 의원은 같은 야당임에도 문 전 대표의 "입을 탄핵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문 전 대표 당선을 강하게 견제하고 있다.

대구경북(TK)과 마찬가지로 호남도 표결집이 두드러지기에 호남 민심(民心)을 잃는다면 승리는 어렵게 된다.

새누리당은 호남 출신인 이정현 의원을 당대표로 선출하는 등 '틈새공략'을 한 바 있어 문 전 대표의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국민의당이 책임총리 이양을 조건으로 반기문 총장을 지지할 경우 위험은 더욱 커진다.

문 전 대표는 대북 정책에 있어서 보다 전향적인 자세를 보이는 한편 사방을 둘러싼 '적'들과의 화해에 주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