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초기의 정부 경제정책 무게중심은 안정보다는 성장에 쏠려 있다. 대선 공약을 비롯해 최근 대통령 당선자를 중심으로 나오는 내용들은 안정보다는 성장을 중시하는 발언이다. 그러나 우리 경제 현실을 들여다보자. 당면한 서민생활 고통 해결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실정이다.

내년 초 식료품과 석유류 제품 등 서민 생활과 밀접한 품목들의 가격 상승이 봇물처럼 터져나오고 있다. 공공요금까지 잇따라 인상될 것이라는 보도도 줄줄이 나오고 있다. 이런 가격 인상의 자칫 도미노 현상으로 이어질까 우려되지 않을 수 없다.

그러잖아도 고유가의 영향에다 농산물과 국제 원자재값 급등으로 물가가 크게 올라 서민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판에 공공요금마저 잇따라 올릴 계획을 세우고 있다니 유감이 아닐 수 없다. 뿐만 아니라 금융기관들의 대출 금리도 하루가 다르게 뛰어 오르고 있다. 은행 창구에 돈이 메말라 빌려 쓸 수도 없는 형편이라고.

한국은행이 전망한 내년 상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5%이지만 지금 같은 추세라면 전망치를 넘어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새 정부로서는 이 부담을 덜어주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어차피 새해에 밀어닥칠 서민생활 부담은 새 정부가 짊어져야 할 짐인 것이다. 초기에 물가 안정을 다질 기반 마련이 매우 절실하다.

특히 새 정부는 '성장 위주'의 경제정책을 포방하고 있어 물가 인상을 더욱 부추기지 않을까 우려된다. 소비자물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건설경기가 활기를 띠고 있고 기업투자가 활성화되면 물가인상 요인도 그만큼 커지게 마련이다. 뿐만 아니라 고물가는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다. 국제적인 현상으로 교역량이 많은 현실여건상 해결하기가 만만찮다.

소비자물가는 이미 정부의 관리목표(2.5~3.5%)의 한계치에 이른 만큼 철저히 관리하지 않으면 안된다. 유류세 인하 등 다양한 물가안정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공공요금 인상은 초대한 자제해야 한다. 요금인상이 불가피하더라도 그 폭을 줄이고 인상시기를 분산시키도록 지자체 등을 적극 설득하는 노력이 절실하다.
최근 한 여론조사 결과 차기정부의 민생문제 해결책으로'물가안정'을 든 의견이 43.7%나 됐는데 새겨들어야 할 것이다.

서민부담을 줄여주고 인플레 심리를 막아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물가 압력이 새로운 정책 추진에 복병으로 새롭게 등장할 수도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