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출인구수 2배 이상 차이...환경부 400만, 시민단체 1000만 주장



[투데이코리아=최치선 기자] 가습기 살균제 피해가 심갹한 가운데 환경부와 시민단체의 조사가 제각각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지난 26일 환경부는 가습기에 노출된 인구가 400만 명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논란이 시작된지 7년 만에 나온 첫 정부 차원의 조사 결과여서 관심이 집중됐다. 환경부는 이날 천식을 피해 질환으로 인정하는 새로운 판정 기준도 다음 달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환경보건시민센터 등 일부 시민단체와 환경보건학회 등 학계에서는 가습시살균제 노출 1000만 여명, 건강피해 220만 여명 등으로 발표했었다.

그동안 가습기 살균제 참사 피해자들은 정부가 피해 규모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해 왔는데 이번 발표로 그런 지적에 힘이 실리게 됐다.

정부가 발표한 가습기 노출수 400만명은 지난해 6월 환경부의 용역을 받아 한 환경 관련 학회가 조사한 내용이다.

여기에 가습기 살균제에 노출된 뒤 건강에 문제가 생긴 경우는 40만 명에서 50만 명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또 새로운 병을 얻은 사례는 최대 30만 명. 앓고 있던 병이 악화된 경우도 2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지금까지 접수된 공식 신고 건수는 5584명 뿐이었다. 하지만 환경부는 방송에 보도된 내용은 설문조사의 응답 비율을 고려한 추정 결과로서, 실제 피해자 규모와는 다를 수 있다고 해명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은 정부 발표에 대해 “99%를 어떻게 찾아내느냐가 관건이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대규모 역학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소장은 또 “지금까지 정부는 폐가 딱딱해지는 이른바 '폐 섬유화'에 대해서만 피해를 인정해왔다”면서 “그 사이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는 피해자들이 방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가습기 참사 피해자 중 한명인 김00는 “첫째 아이는 폐렴을 앓고 경련을 심하게 하다가 천식 진단을 받았고 둘째 아이는 태어나자마자 비염 진단을 받았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천식도 가습기 살균제 피해 질환으로 인정하는 새로운 판정 기준을 만든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 산하의 '폐이외질환 검토위원회' 관계자는 “태아피해 및 천식 등에 중점적으로 검토해 왔다”며 “다음달 초 공청회를 통해 새 기준을 발표하고 구체적인 적용 시기를 확정하겠다”고 밝혔다.

'가습기 살균제 증후군'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천식은 물론 피부질환과 간손상 등도 큰 틀에서 인정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또한 천식 판정기준(안) 마련과 타당성 검토를 위해 전문가 의견 수렴 및 공청회 등을 조속히 추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