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기부가 3D프린터를 이용한 의료기기 제작지원에 나섰다.



[투데이코리아=권규홍 기자]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은 9일 미래 4차 산업의 총아로 불리는 3D프린팅 기술을 의료분야에 본격 적용 추진키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과기부는 병원 현장에서 실제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의료기기 제작 지원사업을 시행키로 하였다. 이는 환자의 체형 및 환부에 꼭 맞는 의료기기를 3D프린팅으로 제작하여 적용하는 방식으로 ‘3D프린팅 환자 맞춤형 의료기기 제작 및 적용 지원 사업’으로 명명되어 사업이 추진된다.

과기부는 이를 위해 5월 10일부터 6월 11일까지 공모절차를 진행하여 6월말부터 본격 시행 예정에 들어가기로 밝혔다.

사업 수행기관은 올해 총 13.5억원이 책정되었고 정부가 6.75억원원, 지자체가 6.75억원을 출자하여 병원 수요를 바탕으로 한 3D프린팅 의료기기를 제작하여 병원에서의 적용을 지원하기로 하였다.

의료분야는 3D프린팅 기술 활용도가 높아 가장 큰 성장률이 예상되는 분야로 그간 몇년간 다른 산업분야보다도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그 동안 의료분야에 대한 정부의 3D프린팅 지원 사업은 설계 소프트웨어 기술 등 연구개발(R&D)과 일부 의료기기의 시범제작을 통한 기술적용 가능성 확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기에, 의료계에서는 한 단계 더 나아가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해 볼 수 있는 3D프린팅 의료기기의 개발 필요성을 제시해 왔다.


이번 사업 역시 의료계의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실수요자인 병원과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의료기기 제작 전문 인프라를 갖추기로 하였다.

올해 사업 적용대상 의료기기는 맞춤형 보조기, 인체 삽입형 치료물, 수술용 도구 및 가이드 등으로 3D프린팅 적용 가능성이 높은 분야를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시범적인 운용에 들어가기로 하였다.

3D프린팅을 활용하면 사람의 손으로 구현하기 힘든 정밀한 작업까지 가능하여 최적화된 제품을 통해 치료효과를 향상시키고, 제작시간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맞춤형 보조기는 의족, 유아 머리 교정기, 허리 및 발가락 교정기 등으로 이는 환자 체형에 맞도록 하는 것이 특히 중요한 기술로 지목되어 왔다.

두개골 함몰 치료물 등 인체 삽입형 치료물은 기존에는 의사가 직접 치료물을 만들었으나, 3D프린팅 활용 시 환부의 크기, 모양을 보다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의료용 수술가이드는 주로 정형외과나 치과 등에서 수술 준비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수술전에 커팅가이드, 포지셔닝 가이드 등을 제작하여 수술할 위치를 파악하는 절차가 있는데 그 동안 의사들은 자신들의 노하우 및 경험에 의존하여 제작해 왔기에 이번 사업이 의사들에게도 더욱 기대될수 밖에 없다.


과기부의 정보통신산업과 노훈 주무관에게 문의한 결과 "사업 수행절차는, 공모 과정을 통해 선정된 사업 수행기관이 전국의 병원을 대상으로 3D프린팅으로 제작 가능한 의료기기의 수요를 받은 후, 3D프린팅으로 제작하여 이를 병원을 통해 환자에게 적용하는 방식"이라며 "병원으로부터 환자의 의료 영상을 받아 제작이 필요한 의료기기를 3D로 모델링 하고, 이를 3D프린팅으로 출력한 후 성능테스트를 거쳐 수요병원에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