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간 120억 투자…주변국 ‘AI 변이 지도’ 구축 통 추진

▲ 한 AI 발생농가에서 살처분 하는 모습.

[투데이코리아=노철중 기자]2003년 이후 해마다 발생하는 조류인플루엔자(AI)로 인해 농가의 손해뿐만 아니라 국가 예산 낭비, 국민 먹거리 불안, 살처분에 따른 토양 오염 등 여러 가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현재 가금류에 직접 주사하는 AI 백신이 개발돼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변종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인체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도 개발됐지만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은 AI 발생 자체를 막는 것이다.


그러나 수많은 변종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특성 때문에 그 방법도 쉽게 쓸 수 없는 모양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AI 국제협력연구를 통해 선제적으로 유입을 막는 방안 강구에 나섰다.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건국대학교와 원광대학교 연구팀을 중심으로 중국, 몽골 등과 국제협력연구 본격적으로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 과기정통부는 6년간 총 120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정부는 지난해 7월 AI·구제역에 대한 방역효과 극대화를 위해 ‘바이오경제 혁신전략 2025’와 ‘AI·구제역 대응 범부처 연구개발 추진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과기정통부는 AI는 신종과 변종이 많고 철새의 이동으로 중국, 몽골 등 주변국에서 유입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국제협력연구를 통한 AI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간의 연구들은 단일 국가를 대상으로 소규모의 시료만을 확보해 진행돼왔다. 이번 연구는 중국, 몽골, 러시아, 베트남 등 주요 AI 발생지에 소재하는 연구기관과 협력관계를 구축해 다량의 시료를 확보할 예정이다. 이후 획득한 유전정보 등의 분석결과를 빅테이터화 한다는 방침이다.


궁극적인 연구 목적은 ‘AI 변이 지도’를 활용해 국내 유입 가능성이 높은 AI 바이러스 유형을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주변국에서 AI 발생 시 저병원성/고병원성 여부를 사전에 판별하고 신속하게 바이러스 유형에 적합한 백신을 개발하는 등 선제적 방역대책 수립한다는 구상이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유입예측과 신속한 대응을 위해서는 국제협력 네트워크 확보가 필수적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신‧변종 AI 바이러스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 이루어져 더욱 효과적인 조류인플루엔자 대응 체계를 갖출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