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통수권자’ ‘대통령’ 처신 부적절 목소리 나와

▲ 3차 남북정상회담 당시 얼싸안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 북한 김정은.


[투데이코리아=오주한 기자] 지난 3월 제3회 서해수호의날 기념식에 이어 최근 6.25 68주년 기념식에 불참한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제2연평해전 16주기 당일에도 ‘침묵’했다.


장병들을 챙겨야 할 군(軍) 통수권자, 국민안전에 책임 있는 대통령으로서 부적절한 처신이라는 비판과 함께 과도한 ‘북한 눈치보기’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28일 춘추관에서 기자단에 문 대통령이 감기몸살로 인해 28~29일 이틀 간 연차휴가를 낸다고 밝혔다. 그는 “(문 대통령이) 쉬는 동안 정식보고서, 일체의 메모 형태도 올리지 않는 등 어떠한 보고도 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야당 일각에서는 ‘침묵을 위한 핑계’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을 의식한 듯 문 대통령이 내놨던 ‘대통령 24시간 공개’ 약속을 저버린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문 대통령은 앞서 북한 김정은과의 ‘기습회담’으로 이미 한차례 이 약속을 어긴 바 있다.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메시지는 대통령이 직접 작성하는 게 아니다. 그냥 내기 싫은 거다”며 “대통령 와병과 연평해전 메시지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지적했다.


남북은 근래 북한 내 ‘개성~평양’ ‘고성~원산’ 고속도로 현대화를 합의하고 ‘평양~서울 고속도로’를 논의하는 등 ‘장밋빛 무드’를 이어가고 있다. 한미연합훈련이 연달아 취소되고 서북도서에서의 K-9 자주포 실사격 등 우리 군 자체 훈련 중단도 검토되고 있지만 북한은 아직까지도 핵폐기 착수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북한 눈치보기’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문 대통령 태도는 미국에서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28일 미국의소리(VOA) 보도에 따르면 평소 한국음식을 즐길 정도로 친한(親韓)파인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은 하원 본회의에서의 북한인권법 통과와 관련해 “최근 한국 정부가 북한인권 운동가들을 침묵시키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문 대통령이 짧은 메시지조차 검토할 수 없을 정도로 건강에 ‘적신호’가 켜진 것 아니냐는 반론도 있다. 그러나 이것대로 우려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국가경제가 나락으로 몰리는 가운데 결정권자인 대통령이 건강이상에 시달리게 되면 국정공백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이 부분에 대해서도 크게 염려할 필요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28~29일 전국에서는 제2연평해전 기념식 참석이 이어졌다. 28일 국립대전현충원 제2연평해전 전사자 묘역에는 인근 어린이집 원생들이 찾아 고사리손을 모아 고인(故人)들의 넋을 기렸다. 29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는 수학여행을 온 충북 제천 홍광초등학교 학생들이 참수리 357호정에 올라 참혹했던 교전상황을 체험했다.


제2연평해전은 한일월드컵이 한창이던 2002년 6월29일 북한 경비정의 기습포격으로 발발했다. 참수리 357호정은 김대중 정부 지침에 따라 서해북방한계선(NLL)을 넘어온 북한 경비정에 대해 경고사격 대신 차단기동을 위해 접근했다. 그러던 중 북한 경비정의 포격으로 조타실이 불길에 휩싸였다.


남북 간 치열한 교전 끝에 북한 경비정은 퇴각했지만 고(故) 윤영하 소령, 고 한상국 상사, 고 조천형 중사, 고 황도현 중사, 고 서후원 중사, 고 박동혁 병장 등 6명이 전사했다. 참수리 357호정은 바다 밑으로 침몰했다. 북한은 16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사과하지 않고 있다.

키워드

#제2연평해전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