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자→탈북자’ 판명 시 최대 ‘멸족’… ‘간첩회유’ 우려도

▲ 통일부는 탈북민 997명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밝혔다.


[투데이코리아=오주한 기자] 탈북민 997명의 개인정보가 무더기 유출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북한에 잔류한 이들의 가족 목숨이 경각에 달린 가운데 ‘간첩회유’ 우려도 나오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28일 “관계기관에서 경북하나센터(탈북민 사회적응 교육기관) 사용 PC 1대에 대한 해킹정황을 인지하고 19일 경북도청, 하나재단과 함께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해당 PC가 악성코드에 감염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에 의하면 해당 PC는 하나센터 직원이 지난달 대표이메일에서 악성코드가 숨겨진 이메일을 열람하면서 해킹에 노출됐다. 이 PC에는 이름, 생년월일, 주소 등 997명의 탈북민 개인정보가 담겨 있었다. 직원은 개인정보에 대한 암호설정, 인터넷에 연결 안 된 PC 저장 등 원칙을 어긴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는 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하고 신변보호가 필요한 피해자에 대해 조치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적잖은 탈북민은 북한에서 ‘실종자’로 처리돼 있다. 국경경비대 등에게 뇌물을 주고 몰래 빠져나오는 식이다. 돈벌이 등 목적의 중국으로의 탈북은 노동교화형 등 상대적으로 가벼운 형에 처해지지만 ‘한국으로의 탈북’은 관리소(정치범수용소) 등 최대 ‘멸족’ 대상이다. 때문에 이번에 피해를 본 많은 탈북민들이 북한 잔류가족 생사를 염려하고 있다.


북한이 잔류가족을 인질로 한국 거주 탈북자들에게 ‘간첩’ ‘귀북(歸北)’을 요구할 가능성도 우려되고 있다. 언론에는 크게 보도되지 않지만 탈북민 귀북은 흔하다. 적잖은 경우가 가족안전 때문에 복귀를 택한다. 이들은 혹독한 ‘물빼기(사상교육)’ 후 ‘남한 비방용’ 방송에 동원된다. 일부는 아예 간첩으로 포섭되기도 한다.


이를 우려해 일부 탈북민들은 국가정보원, 군사안보지원사령부(옛 기무사령부), 검경 등이 참여하는 정부 합동신문 및 하나센터 교육 등을 거쳐 사회에 정착한 후 아예 개명하기도 한다. 그러나 북한의 대응도 비례해 치밀해지고 있어 피해는 여전히 우려되고 있다.


서울 모처에 거주하는 50대 탈북여성 A씨는 “며칠 전에도 (중국을 거쳐) 가족과 통화했다”며 “이런 일이 생기면 어떻게 안심하고 살 수 있나”라고 분통을 터트렸다. 또 “이번 사건에 ‘내부협력자’가 있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고 ‘의혹’도 표시했다.

키워드

#탈북민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