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이후 최소치…중소기업 매출 충격시 2.2까지 떨어져

▲ 이자배율 추이 그래프. (한은제공)

투데이코리아=최한결 기자 | 우리나라 기업들이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린 후 이자비용 등을 갚는 채무상환능력이 4년만에 떨어졌다. 이 수치는 201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20일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2019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외부감사결과 공시기업 2만1213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기업의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은 2017년 6.3배에서 지난해 5.9배까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보상배율이란 기업의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눴을 때 수치가 낮다면 채무 상환 능력이 떨어진다는 의미다. 즉 이자보상배율이 높을수록 기업은 부채를 갚을 수 있는 능력이 높고 경영 건제성이 좋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이번 상반기 채무상환능력이 악화된 것은 수출 업종을 중심으로 매출액 증가세가 둔화하고 영업이익률 자체가 낮아 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국내 내수 경기의 부진,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의 확대, 미중 무역분쟁, 세계 교역량 감소 등이 배경이다.

특히 전기전자업종을 제외하면 3.9로 2015년(3.5)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떨어졌다. 기업 규모로는 대기업이 7.5, 중소기업은 2.5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충당하기 어려운 이자보상배율 1미만인 기업이 전체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32.1%로 2010년(26.9%) 이후 가장 높았다. 전년 대비 2.4%포인트 상승했다. ‘1미만’은 중소기업(34.0%)에서, 또 업종별로 조선(54.9%), 자동차(37.8%), 숙박음식(57.7%), 부동산(42.7%) 등에서 높았다.

또한 경제 흐름이 좋지 않다면 부채 상환 능력이 더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매출액이 지난해 대비 평균 –3% 감소하는 ‘매출 충격’을 가정했을 때 채무상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한 결과 이자보상배율은 5.1로 더 낮아질 것으로 추정됐다. 이 경우에 이자보상배율이 1이 안되는 기업에 대한 금융권 여신 비중은 32.1%에서 38.6%로 상승할 것으로 추산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금융기관은 기업 신용위험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자본 확충 등을 통해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특히 수출업종 기업의 경우 향후 업황에 대한 불확실성이 큰 만큼 경영상황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