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국내 스마트시티 제도 아직 초기 단계"


▲ 8일 오후 2시 구글 스타트업 메인 캠퍼스홀에서 열린 '2019 제 4회 KOREA DATA-BIZ TRENDS'에서 패널 토의 시간에 좌장을 맡은 유은정 연세대학교 지식정보화연구소 교수(왼쪽 세번째)가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사진=편은지 기자

투데이코리아=편은지 기자 | 정부가 스마트시티 사업에 박차를 가하면서 각종 벤처·스타트업 기업들이 갖고 있는 기술은 매우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국내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법 제도가 미비하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8일 오후 2시 구글 스타트업 메인 캠퍼스홀에서 열린 ‘2019제4회 KOREA DATA-BIZ TRENDS(코리아 데이터 비즈 트렌드)’에서는 ‘스마트시티, 데이터로 만들어가는 새로운 생활 플랫폼’이라는 주제로 관련 업계 연구위원, 스타트업 대표 등이 스마트시티 분야의 데이터 비즈니스 동향과 비즈니스 모델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딥핑소스’의 김태훈 대표는 데이터의 개인 식별 정보를 지우면서 머신러닝 모델에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소개했다. 특히 얼굴의 경우 이들의 기술을 거쳤을 때 사람의 눈으로는 누군지 알아볼 수 없지만 AI는 학습을 통해 식별할 수 있었다. 

또 2D도면을단 2초 만에 3D도면으로 바꾸는 기술도 선보였다. ‘URBANBASE’의 김덕중 이사는 비싼 장비나 인력없이 설계도 이미지만으로 2초 만에 3D도면을 만드는 기술을 선보였다. 

김덕중 이사는 “실외공간에 대한 정보에 비해 실내공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이 기술을 연구하기) 시작하게 됐다”며 “서울시 전체의 실내공간정보를 일반 사람이 수집하려면 135년이 걸리는 것을 저희 기술과 데이터를 접목시켜 2.5년 만에 전국의 아파트 실내공간정보를 수집했다”고 설명했다.

또 이날 행사에서는 스마트시티의 현 주소와 국가전략에 대한 대화도 오갔다. 좌장을 맡은 유은정 연세대학교 지식정보화연구소 교수는 “이제 데이터는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데이터가 유통되고 융합하고 거래된다”며 “국가전략으로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허브를 구축해 대구와 시흥에 시범 도시를 실천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아직 정부의 스마트시티를 완성하는 데에는 갈 길이 멀다는 따끔한 지적도 나왔다.

디지털 트윈의 표준화에 관련한 계획과 방향성에 대해 강진아 한국국토정보공사 플랫폼개발부 차장은 “국토부에서 정리한 값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갱신주기가 달라 갭이 생긴다”고 설명하고 “아직 법적으로 제도가 지원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강 차장은 “정부의 스마트시티 사업은 이제 첫 단계이며 스마트시티가 데이터에 대한 다양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장을 누르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조심스러워 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