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서초구 삼성 딜라이트샵에 전시되어 있는 반도체 패브리케이티드 웨이퍼 (자료사진)

투데이코리아=김현호 기자 |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에 이어 화이트리스트 제외를 두고 정부가 소재·부품·장비 자립을 위해 추가경정예산 투입을 본격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무회의에서 ‘소재·부품·장비 추경예산 기술개발 사업 추진계획’을 보고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산업부,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개 부처 소재·부품·장비 관련 기술개발 사업 진행현황과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 산학연 융합형 연구개발 협업 모델 예시 (산업부 제공)


정부는 기술개발과 실증평가로 나눠 사업을 추진한다. 기술 개발은 산업부에서 '공급안정화 수요 및 산업적 연관효과가 큰 핵심 전략품목'을, 중기부에서 '기업수요에 기반한 국산 대체 가능 품목'을, 과기정통부에서 '원천기술 역량을 제고해야 할 필수 소재'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산업부는 조기 공급 안정화에 필요한 25개 핵심 전략 품목을 대상으로 공모절차 없이 과제내용이나 주관기관을 지정하는 ‘정책지정’ 방식으로 지난달 30일부터 기술개발에 착수했다.

중기부의 경우 기업수요에 기반을 둔 국산 대체 가능 34개 품목 기술개발 과제 수행기관 모집 공고를 10일 시작한 후 평가를 거쳐 선정한다. 과기부는 이달 중 기초 원천 6개 소재 기술개발에 착수할 계획이다.

중기부도 217억원을 투입하는 34개 현장수요 품목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참여 중소기업 선정을 서둘러 11월 초부터 시행키로 했다. 37억원의 과기부 기초원천 소재 사업도 이달 중 본격적으로 착수 예정이다.

또한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나노·미래소재 원천기술 개발사업을 새롭게 추진해 기초연구성과를 사업화로 연결하는 한편, 기존 25개 미래소재디스커버리 연구단 외에 해외 의존도가 높은 소재의 혁신적 대체소재 원천특허 확보를 위한 연구단 3개를 추가 선정할 계획이다.

화학, 금속, 섬유, 세라믹·전자, 기계(장비), 자동차 등 5개 분야 핵심품목은 신뢰성·실증 평가에 필요한 필수 시험·평가 장비 등 테스트베드를 주요 공공연구소 등에 설치·보강한다.

특히 일본 수출규제 영향력이 큰 반도체 분야는 집중적으로 지원해 양산 현장 수준의 최신 성능 평가 장비를 구축하고 시스템반도체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 기업에는 노후 시제품 장비 교체를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추경(241억원)을 투입해 기존 소재 원천기술이 빠른 시일 내 성과가 나오도록 지원하고, 일본 수출규제에 대응해 시급한 반도체 소재·부품 테스트베드 구축에 나설 예정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