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콜 TOP4 ‘공산품·의약품·의료기기·자동차’

▲ 공정거래위원회.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 지난해 2200건의 ‘리콜’ 조치가 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56% 증가한 수치로, 품목별로는 공산품, 의약품, 의료기기, 자동차 등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리콜이란 물품의 결함으로 인해 소비자의 생명·신체·재산에 위해를 끼치거나 끼칠 우려가 있는 경우 제조·수입·판매자 등의 사업자가 수리·교환·환급 등의 방법으로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는 행위를 말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5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각 정부 부처, 지방자치단체, 한국소비자원 등의 ‘2018년 리콜 실적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

지난해 총 리콜 건수(2220건)는 2017년(1404건) 대비 56.12%(816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반적인 리콜 건수의 증가와 더불어 2018년에 의약외품, 의료기기, 생활방사선 안전기준 결함 가공제품에 대해 리콜 실적이 새롭게 추가됐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는 자진리콜이 962건(43.33%), 리콜권고가 184건(8.29%), 리콜명령이 1074건(48.38%)으로 나타났다.

자진리콜 비율은 2016년 34.68%(1603건 중 556건), 2017년 37.68% (1404건 중 529건), 2018년 43.33%(2220건 중 962건)로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리콜명령 비율은 2016년 53.4%(1603건 중 856건), 2017년 49.93%(1404건 중 701건), 2018년 48.38%(2220건 중1074건)로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공산품 리콜이 683건으로 가장 많았다. 의약품(한약재·의약외품 포함) 344건, 의료기기 330건, 자동차 311건 등이 뒤를 이었다. 공산품, 의약품, 자동차 등 대부분 품목의 리콜 건수가 증가했다.

공산품은 제품안전기본법 상 안전성 조사를 실시해 어린이에게 인기가 높은 액체괴물 등에 대해 리콜을 실시하는 등 전반적인 리콜이 2017년에 비해 증가(2017년 587건→2018년 683건, 약 16% 증가)했다.

자동차는 BMW 엔진에 장착된 배기가스재순환장치(EGR) 결함으로 인한 자진리콜이 실시되는 등 리콜이 2017년에 비해 증가(2017년 287건→ 2018년 311건, 약 8.4% 증가)했다.

일부 지자체에서도 식품위생법, 축산물위생관리법 등에 따라 2017년(64건) 대비 약 56% 증가한 총 100건의 리콜 실적이 있었다. 충북·서울·전북·강원 등의 순으로 리콜제도 운용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위는 ‘행복드림’ 누리집 및 앱을 통해 통합 리콜정보(해외 리콜정보 포함)를 제공하고 있다.

공정위 관계자는 “현재 지자체의 리콜정보는 행복드림 열린소비자포털과의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에 따라 소비자가 즉각적으로 리콜정보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며 “향후 17개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의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리콜정보도 행복드림 열린소비자포털과 연계해 제공하는 것을 추진해 리콜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접근성을 제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