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2012년이후 소득 증가불구 소비 평탄화 고착돼

▲ 최근 국내 민간소비 성향 변동추이 (사진=한국은행)

투데이코리아=송현섭 기자 | 50·60대이상 고령의 고소득층이 민간소비를 주도해오고 있지만 지난 2012년을 기점으로 늘어난 소득에 비해 소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4일 ‘최근 소비성향 변동요인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해 이 같은 현상을 토대로 경기 조절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서 김대용 한국은행 차장과 서정원 조사역은 소비성향 변동추이와 민간소비 행태를 추적한 분석결과를 내놨다.


우선 2000년대 들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던 소비성향이 2012년 기점으로 꾸준히 하락했다. 이후 2015년이후 소폭 반등에도 불구하고 단기간 하락 뒤 곧 회복되던 2003년의 패턴과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가계소득 증가에 역행해 민간소비 평탄화가 고착화됐다는 것이 이번 보고서의 결론이다. 최근 소비성향 하락은 50대이상 고소득층 가구의 주도로 현실화된 것이다.


반면 국외 소비지출과 의료·보건 등의 경우 소비성향이 높아졌으나 전반적으로 의식주 등 필수지출 항목을 위주로 소비성향이 하락을 면치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 속에서 노후 소득원이 안정적이지 않아 50대이상 가구의 미래소득에 대한 불안감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주 연령대가 높고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자산효과는 작아졌다. 또한 고령화의 심화로 순자산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뜻하는 부의 효과는 약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소비성향이 2000년대 수준으로 복귀하기는 어려운 만큼 정책당국이 미래소득에 대한 급격한 기대변동을 유의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따라서 보고서는 가계의 안정적 소득기반을 확충하는데 정책적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보유자산 가격변동에 따른 부의 효과에 둔감한 60대이상 고령층이 빠르게 늘어나는 만큼 중점 고려할 필요성을 제시했다.


한편 국내 민간부문 소비성향은 지난 2003년 카드대란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일시적 등락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통제 가능한 일정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2012년 기점으로 발생한 소비성향 하락세는 2015년이후 소폭 반등에도 불구하고 과거와 같은 행태를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