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인들과 정치인들은 위기 탈출용으로 '재산헌납'을 자주 약속한다.
특히 고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 수많은 비리 정치인이나 기업인들이 재산헌납으로 면죄부를 받으려고 노력했다. 최근에는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8000억 원,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1조 원 사회환원 하겠다고 약속했다. 한발 더 나아가 삼성 이건희 회장이 김용철 파문이 끝나면 전 재산을 헌납 할 것이라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재산 헌납의 하이라이트는 이명박 대통령이었다.
이 대통령은 “가진 재산, 제가 죽을 때 무덤에 가져가겠나. 자식에게 다 물려주겠나. 아니다. 저는 제 재산을 우리 사회를 위해, 진정 유익한 곳에 쓰겠다"고 밝혀 부동산으로 몰려 있던 분위기 일신했다.
당시 사회 환원을 약속한 재산은 논현동 주택(40억5000만원)을 제외한 ▲서초동 영포빌딩(118억8000만원) ▲서초동 상가(90억4000만원) ▲양재동 영일빌딩(68억9000만원) ▲논현동 땅(11억5000만원) 등 모두 353억8000만원의 부동산이다.
사실 재산헌납은 자본주의 나라에서 적절치 않는 방법이다. 부를 축척하려고 노력하고 노력해서 얻은 부를 가지고 즐기는 것은 당연한 권리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사회적 분위기가 코너에 몰린 사람들에게 재산헌납을 강요하는 편이다.
이야기가 곁가지로 흘렀는데 많은 국민들이 왜 이 대통령이 아직도 전 재산을 “사회환원하지 않는냐”는 의심어린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최근에는 이 대통령의 300억대 전재산 사회환원을 위한 사이트까지 생겨났다.
이에대해 청와대 한 핵심 관계자는 11일 재산헌납위원회 구성과 관련, “많은 언론이 관심이 있는데 아직 말씀드릴 수 있을 만큼 구체적으로 진행된 상황이 없다. 취임 초기에 경황이 없지 않냐. 재산 헌납이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다”면서 재산 헌납 절차가 후순위로 밀릴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러나 다른 모든 것을 떠나 정치인은 기업인과 달리 언행일치가 다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이명박은 이제 정치인이 아니라 대통령이다. 가뜩이나 이 대통령의 신뢰성에 문제를 삼고 '사사건건' 시비를 거는 인사들의 입을 잠재우기 위해서라도 빠른 시일내에 재산환원의 약속이행을 해야 할 것이다.
총선에서 과반수 의석 차지하고 대운하특별법을 만들어서 대운하 사업이 본격 시작되면 기부하려는가는것은 아닌지 '그것이 궁금하다'

투데이코리아 편집국장

김태혁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