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입언론사 400여개, 출입기자 2000여명, 상시출입기자 600여명.

기자들의 수 많은 출입처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곳의 현황이다. 이곳은 바로 대한민국 국회에 출입하는 기자들로 입법부에서 일어나는 모든 법안의 진행과정과 각 정당, 정치인의 일거수 일투족을 기사화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는 숫자다.

이들이 국회에 출입한다고 해서 모두 정치부 기자는 아니다. 정치는 물론 경제, 사회, 문화 등 신문지상에 오르 내리는 모든 부문에 걸쳐 활동하고 있다.

특히, 17대 국회 이후 생겨난 각종 인터넷 매체들로 인해 국회는 기존 매체 기자들과 신규 매체들 기자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정작 필요한 인력이 없다고 외치는 곳이 있다.

바로 언론사 정치부로 최근에는 심각한 '기자 품귀 현상'까지 일고있다. 최근 각종 매체에서 경력직 기자를 모집하는 데 있어 정치부는 단연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내년에 있을 대선 과정 취재에서 정치부 기자의 역할은 단연 최고의 위치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정작 다른 부서 인원은 충원이 되지만 정치부는 단 한명도 구하기 힘든 것이 바로 각 매체들의 공통된 고민이다.

최근의 대선 과정 취재로 인해 일시적 인력 수요가 늘어났다고 보기에는 여러 문제들이 있다. 그러면 왜 이러한 문제들이 발생했는가를 모 언론사 발행인의 경험을 토대로 살펴보자.

인터넷 매체를 운영하고 있는 박 모 발행인은 최근 경력직 정치부 기자를 뽑기 위해 공고를 냈지만 결국 한명도 채용하지 못했다.

채용을 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현장 투입이 즉시 가능한 '경험 부족'인력이 대부분이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기존 매체에서 활동중인 기자를 스카웃하기에는 너무 많은 비용이 지출되고 신입이나 수습기자를 채용하기에는 다가올 대선 과정에서 분석기사나 특종을 쓰기에는 너무 '내공(?)'이 딸린다는 이유에서다.

결국 두달에 걸친 경력기자 공고는 내리고 신입과 수습기자를 선발했다. 박 모 발행인은 정치부 기자 '품귀현상'에 대해 몇 가지 분석을 내렸다.

첫째, 기존 매체와 달리 자체내 풍부한 인적자원이 뒷 받침되지 못한 상황에서 탄생한 신생 매체들은 타 부서보다 상징적인 위치에 있는 정치부에 다년간 경험이 있는 기자들을 선호하지만 훈련이 된 정치부 기자는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을 가장 큰 요인으로 보고 있다.

둘째, 정치부 기자 몇년을 한 뒤 국회 보좌진으로 자리를 옮기거나 유급화 된 지방직 의원을 준비하는 '의원 준비생'들은 신생 매체 기피현상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정치부 보다는 경제부가 기자 개인의 향후 경력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 심리 작용도 한 몫을 했다고 분석했다.

물론 박 모 발행인의 말이 전적으로 맞다고 할 수는 없지만 상당부분 공감되는 부분도 있다.

최근 언론재단에서 발행한 각종 신문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살펴보면, 온-오프라인 매체를 막론하고 대부분 적자경영을 유지하고 있으며, 향후 '사양산업'이 될 것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라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우리의 신문산업의 미래가 비관적이지만은 않다. 창조성과 다양성을 기반으로 전세계에서 가장 왕성한 콘텐츠 개발과 디지털화가 이뤄지면서 '시민문화 발전'에 선두적인 위치에 있다.

결국 기자와 신문사의 생존은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환경에 맞춰 '환골탈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기존의 관습이 가장 많이 남아 있는 정치부 기자들의 혁신적 자세가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