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홍콩에서 친중 지지자들의 홍콩국가안전유지법(보안법) 승인 축하 집회가 열려 한 참가자가 중국 국기를 흔들고 있다. 이날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홍콩 내 국가 분열 행위를 처벌하는 보안법을 만장일치로 최종 통과시켰다. 홍콩 보안법은 홍콩 반환 23주년 기념일인 7월 1일부터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2020.06.30.
▲ 30일 홍콩에서 친중 지지자들의 홍콩국가안전유지법(보안법) 승인 축하 집회가 열려 한 참가자가 중국 국기를 흔들고 있다. 이날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홍콩 내 국가 분열 행위를 처벌하는 보안법을 만장일치로 최종 통과시켰다. 홍콩 보안법은 홍콩 반환 23주년 기념일인 7월 1일부터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2020.06.30.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세계 교역이 큰 폭으로 위축된 가운데, 중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외국인 직접투자는 증가세를 보이며 글로벌 교역경제에서 중국 영향력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9일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세계 교역·투자구조 변화와 앞으로 한국의 정책 대응 방향을 분석·발표했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각국 경제봉쇄 조치로 지난해 1~3분기 세계 교역 규모는 전년동기 대비 10.6% 감소한 12조5168억 달러를 기록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작년 세계 무역이 3분기부터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연간으로는 전년 대비 9.6%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처럼 세계 교역이 10%대로 큰 폭의 역성장을 한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교역규모가 전년 대비 23.6% 감소하고, 2015년 중국 경제 부진으로 12.9% 감소한 데 이어 1997년 글로벌 외환위기 이후 세 번째다.
 
국가별로는 글로벌 생산기지로 자리 잡은 베트남을 제외하고는 지난 해 3분기까지 세계 20대 수출국(2019년 기준)의 대외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8~25% 감소했다.
 
미국 -15.2%, 독일 -11.6%, 일본 –15.2% 등으로 주요국의 작년 1-3분기 수출이 두 자리 수 감소한 가운데, 주요국 대비 빠른 경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은 0.8% 감소에 그쳤고, 특히 지난해 3분기 수출은 플러스로 돌아섰다.
 
이처럼 중국이 미국, 독일, 네덜란드, 일본, 영국 등 전통 수출 강국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수출이 덜 감소하면서 지난해 1-3분기 중국의 세계 수출 시장 비중은 전년동기 대비 1.4%p 늘어난 14.5%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2016년 이후 중국의 세계 수출 시장 점유율은 미국과의 무역전쟁, 베트남 등 아세안 국가로의 글로벌 밸류체인 재편 등의 영향으로 2015년 13.9%를 기록한 이후 2019년 13.2%로 떨어지며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여왔다.
 
하지만 주요국 중 가장 먼저 경제정상화 조짐을 보이는 중국의 지난해 1-3분기 세계 수출 시장 비중은 14.5%로 증가했다. 반면 미국의 비중은 2019년 8.8%에서 지난해 1-3분기 8.3%로 0.5%p 하락했다.
 
지난해 세계 외국인 직접투자가 전년대비 42.3% 감소한 859억 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인도가 13%, 중국은 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의 경우 구글이 작년 7월 100억달러 규모의 인도 디지털 인프라 구축 투자계획을 발표하는 등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디지털 인프라 투자가 늘어났고, 중국의 경우 서비스․첨단기술 분야로 외국인 투자자본의 유입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올해 세계 교역이 7~8% 늘어나고, 한국의 수출도 반도체 등 디지털 관련 품목 호조로 6~7% 증가할 전망이지만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중국 간 패권전쟁 지속, 선진국․개도국 구분 없는 보호무역주의 확산은 대외교역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이에 대비하기 위해 “우리 통상당국은 새로운 글로벌 무역·통상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큰 CPTPP에 대한 국내외 가입 여건을 강화해야 한다”며 “세계 경제에서 중국 비중이 날로 높아지는 만큼 중국 내 5G, IDC 등 신형인프라 투자확대에 우리 기업들이 적극 진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 인도를 비롯한 신남방국가의 한국을 상대로 한 보호무역주의 조치가 코로나19를 계기로 늘어나고 있는 만큼 통상당국은 이들 국가에 대한 통상외교 강화에도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