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문 취재국장
▲ 김태문 취재국장
정부와 MG새마을금고가 뱅크런(대규모 자금 이탈세) 우려 진화를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자금 이탈세가 ‘진정국면’에 들어갔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자금 인출은 이어지고 있지만 인출 폭이 크게 둔화했다는 것이다. 뱅크런은 무엇보다 초기에 예금자들의 심리적 불안감을 차단하는 게 중요한 만큼 정부와 새마을금고는 뱅크런 우려에 대한 경계심을 늦추지 말아야 할 것이다.
 
새마을금고의 위기설은 지난주 최고점을 찍은 가운데 확대 분위기였다. 그런데 자금 이탈 규모가 지난 7일 처음 감소세로 전환한 것으로 알려진 점은 불행 중 다행이다. 이날 중도 해지자의 재예치 건수가 3천 건이 넘었다는 것이 이를 뒷받침해준다.
 
특히 정부는 지난 1일 0시부터 6일 자정까지 중도해지 한 새마을금고 고객 중 오는 14일까지 재예치를 신청한 경우 당초 약정 이자를 복원하고 비과세 혜택도 유지하겠다는 ‘비상 대책’을 내놨다. 이에 더해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 7일 서울 종로구 사직동 새마을금고 본점을 방문해 6천만 원을 예금하기도 했다.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를 통해 새마을금고에 대한 과도한 불안한 심리를 자제해달라고 언급한 것에 이어 현장을 직접 방문해 예금자들의 심리적 불안감 차단에 나선 것이다. 타당하고 시의적절한 조치라고 할 수 있다.
 
예금자들의 ‘뱅크런 동요’는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다. 새마을금고는 새마을금고법에 따라 은행권과 동일하게 금고별로 1인당 5천만 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된다. 일부 금고 합병 시에는 5,000만원 초과 예금까지 전액 보장해준다. 이런데도 예금자들이 막연한 불안심리에 휩쓸려 약정 이자, 비과세 혜택을 포기하고 중도해지 수수료까지 부담하는 것은 합리적인 선택이 아닐 것이다. 지금은 예금자들이 금융당국과 새마을금고의 대응을 차분하게 지켜봐야 할 상황이지, 출처가 불분명한 유튜브·SNS의 ‘불안 정보’에 따른 ‘군중 심리’에 현혹될 때가 아니다.
 
다만 이번 일부 새마을금고의 뱅크런 우려 상황은 시사점이 많은 만큼 금융당국과 새마을금고는 총력 대응하는 한편 향후 금융 정책의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이다. 감독권과 관련해 새마을금고 주무 부처를 행정안전부에서 금융당국으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도 있는 만큼 뱅크런 우려 상황이 진정된 이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새마을금고의 이번 뱅크런 우려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이 ‘금융 위기의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가볍게 볼 수 없다. 부동산 사업에 자금을 대출해주는 PF에는 새마을금고 등 비은행 금융회사들이 많이 참여하고 있는데, 전체 부동산 PF 대출 규모는 130조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비은행권이 86조원을 차지해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지난해 이후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했고, 원자재 가격까지 높아져 많은 곳이 부실화됐기 때문이다. 금융 당국은 전국 3600여 개 부동산 PF 사업장 중 500여곳 정도가 ‘부실 위험’ 상태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만큼 정부 차원에서도 이번 새마을금고 뱅크런 우려 상황을 조기에 불식시킨다면 대응 체계를 점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 다행인 것은 새마을금고는 안정적인 현금성 자산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고객 요구 시 언제든지 예적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현재 금고 예적금 대비 30%인 약 77.3조원의 현금성 자산 보유하고 있어 지급 여력이 충분하다. 그만큼 현재의 ‘뱅크런 우려’에 대해 예금자들이 이성을 찾아야 할 때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