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구스틴 카스텐스 국제결제은행(BIS) 사무총장이 지난 23일 한국은행 초청 세미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 아구스틴 카스텐스 국제결제은행(BIS) 사무총장이 지난 23일 한국은행 초청 세미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투데이코리아=서승리 기자 | “화폐를 넘어 국채·주식·부동산 등기부 같은 금융·실물 자산에 대한 청구권의 토큰화를 목표로 해야 한다”
 
구스틴 카스텐스 BIS 총장이 지난 23일 한국은행에서 열린 ‘CBDC 미래 통화시스템’을 주제로 한 세미나에서 향후 CBDC 도입 논의에 대해 “토큰화의 핵심은 모든 디지털 자산 네트워크가 서로 연결되고 상호 운용성이 확보되는 것”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카스텐스 총장은 이날 이창용 한은 총재와 CBDC 관련 기술 및 제도적 문제와 함께 미래 통화시스템 구현 과정에서 고려할 부분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금융당국이 추진하고 있는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 실거래 실험에 대해 카스텐스 총장은 미래의 통화 시스템을 위한 유의미한 프로젝트라고 평가했다.
 
그는 “한은의 CBDC 프로젝트를 ‘디지털 원(Digital Won)’이라고 명하고자 한다”라며 “통화 시스템 측면에서 기술적으로 개선됐을 뿐 익숙한 느낌을 주지만 그 구조는 완전히 새롭고, 통합원장(unified ledger)의 개념과도 완전히 일치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디지털 원’ 프로젝트를 매우 가치 있게 만드는 이유는 실제 이 네트워크가 어떻게 작동할지 미지수지만 이런 질문에 답할 수 있게 된다는 부분이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미래 통화 시스템의 비전에 대해서는 ‘금융의 개인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카스텐스 총장은 “개인은 액수에 관계없이 직접 디지털화된 금융자산에 접근할 수 있다”며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기기를 사용해서 원하는 단위와 금액으로 누구에게나 해당 자산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스마트폰 전자상거래나 무료 장거리 전화와 같이 이와 유사한 수준의 편리함, 즉시성, 프라이버시, 보안 그리고 신뢰성을 새로운 통화·금융 시스템에서도 경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를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통합원장’의 개념을 언급했는데 카스텐스 총장은 “한국은행의 CBDC 네트워크 중심에 기관용 CBDC가 있고 규제를 적용받는 은행 시스템이 토큰화한 예금을 통해 공통 원장에 참여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3일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BIS 총재 회의에서 ‘글로벌금융시스템위원회(CGFS)’ 의장으로 선임됐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 및 관련 업계에서는 카스텐스 사무총장이 주도하는 혁신허브와 한은 간의 협력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국은행 측은 “최근 이 총재가 BIS 글로벌금융시스템위원회(CGFS) 의장으로 선출됨에 따라, 이 총재는 당연직으로서 BIS 혁신 허브 자문위원회와 BIS 디지털 혁신 특별그룹의 회원으로 활동한다”며 “카스텐스 사무총장이 주도하는 혁신 허브와 한은 간 협력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