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시중은행의 대출창구. 사진=뉴시스
▲ 한 시중은행의 대출창구.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서승리 기자 | 국내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지난달까지 10개월 연속으로 증가세를 나타낸 가운데, 최근 가계부채 증가의 주범으로 꼽히던 주택담보대출의 증가폭은 둔화되는 양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국내 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의 비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나타내며 더욱 면밀한 가계부채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국내 주요 5대 시중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696조37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월과 비교해 7228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증가폭은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지난달 가계대출의 증가폭은 7228억원으로, 지난 1월 기준 2조9049억원과 비교하면 크게 감소했다. 이는 지난해 11월과 12월에 각각 4조원, 2조원대의 증가폭을 보인 것과 비교하면 크게 낮아진 수준이다.
 
특히, 가계대출 증가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주탣담보대출(주담대)의 증가폭은 지난 1월과 비교해 절반에 가까운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지난달 28일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전월과 비교해 2조1744억원 증가한 536조499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월의 증가폭인 4조4329억원과 비교해 절반 가까이 감소한 수치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금융권에서는 최근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증가세를 잡기 위해 내놓은 규제인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의 적용이 증가폭 감소의 주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지난달 26일부터 시행중인 ‘스트레스 DSR’은 기존 DSR에 미래의 금리 인상에 대한 위험성을 반영해 일정 수준의 가산금리를 더해 산출한다. 이에 소득은 고정이라고 가정하면, DSR 비율을 맞추기 위해서는 대출 원금을 줄여야한다.
 
 또한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내 가계부채 비율의 감소폭도 증가하며 90%대 진입 가능성도 제기돼고있다.

실제로 지난 3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의 내림 폭은 지난 1년 전과 비교해 4.4%로 나타났다. 이는 세계 주요 국가 중 4.6%의 내림 폭을 보인 영국에 이어 두 번째를 기록했다.
 
다만, 지난해 4분기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국내 가계부채 비율은 세계 33개국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며, 향후 더욱 면밀하고 지속적인 가계부채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 4분기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0.1%로, 12개 선진국과 30개 신흥국을 포함한 42개국과 비교해 봐도 스위스(125.6%), 호주(109.3%), 캐나다(102.1%)에 이은 4번째로 높은 상황이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최근 금융당국이 시행한 ‘스트레스 DSR’은 당분간 가계대출 증가세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정책모기지와 대환대출 서비스 등으로 인해 전체 가계대출 증감 추이는 변수가 많은 상황으로 보여진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