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강정욱 기자] 미국 블룸버그는 세계 200대 부자 중에 ‘자수성가형’이 139명(69.5%)에 달해 상속형보다 배 이상 많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내로만 한정한다면 경우는 크게 달라진다.

지난 2012년 CEO스코어는 금감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 30~40대 자산가 상위 50명 중 자수성가한 창업자가 전체의 18%인 9명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심지어 6일 CEO스코어는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 상장 1,769개 기업의 오너 일가 등을 전수 조사한 결과 영유아 억대 자산가와 소년 재벌들이 있는 사실이 나타났다고 부연했다.

물론 남들보다 좋은 환경에서 태어난 이들을 맹목적으로 비판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처음부터 모든 것을 갖추고 태어난 이들이지만 출생에 관한 선택권은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조사결과에서 간과해선 안 되는 것은 우리 사회의 계층이 점차 고착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최근에는 국민의 기본적 권리인 교육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6일 이투스청솔 교육평가연구소가 서울대 고교별 합격자 수를 분석한 결과, 30명 이상 서울대에 진학한 고등학교는 총 17개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 가운데 일반고는 한 곳도 없다.

이 또한 우리 사회에서 계층 이동의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신호라고 받아들일 만하다. 특목고와 자사고는 일정 수준 이상의 경제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한 진학을 준비하기 힘든 곳으로 세간에 알려졌기 때문이다.

물론 고 학벌을 갖추는 것이 막대한 재산을 갖게 되는 것과 반드시 직결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반대의 경우보다 수월함은 기정사실이다.

정부가 이러한 문제를 올바로 인식해 개선에 착수한다면 최근 발표한 '비정상의 정상화'와 '통일대박론'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이어질 것이다.

조건이 다른 이들을 동일하게 경쟁시키는 것은 또 다른 의미의 ‘비정상적’인 관행이라 볼 수 있는 까닭이다.

게다가 계층이동의 유연성이 담보되지 않는 한 '통일 대박론'도 공염불에 지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남북통일로 발생되는 수많은 이권 사업들로 ‘그들만의 대박’만 펼쳐질 수도 있다.

이것이 바로 계층이동의 유연성 부족이 '비정상의 정상화'와 '통일 대박'을 실현하는 데 장애물로 작용하는 이유다.

이에 정부는 이같은 사실을 고려해 우리 사회의 계층 이동 유연성을 담보하기 위한 정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