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초연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 분야 혁신을 가속화하고 4차 산업혁명에 능동 대응하고,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기능 강화를 위한 조직개편에 들어갔다.
5일 행정안전부와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동인인 D·N·A(DATA·NETWORK·AI) 기반 강화를 위해 현 ‘정보통신정책실’을 개편,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을 신설하고 네트워크 관련 정책을 총괄 조정하는 전담기구를 설치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이는 디지털혁신의 원동력인 인공지능·빅데이터 등 신기술 분야 정책 수립, 네트워크 고도화 및 안전관리 강화를 통해 국민편의를 제고하고, 더 나아가 문재인 정부의 국정운영 목표인 ‘혁신성장’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 동안 인공지능 정책은 과기정통부 내 각 부서에서 개별사업에 따라 분담하는 방식으로 이뤄져 인공지능 정책을 총괄하는 전담부서 신설 필요성이 대두돼 왔다. 네트워크 분야 또한 5세대 이동통신(5G) 등 초고속 네트워크가 확산되면서 네트워크의 물리적 안전성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었던 점이 이번 조직개편의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조직개편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인공지능기반정책관 신설을 통해 AI, 빅데이터 및 혁신인재 양성 분야 정책 기능을 대폭 강화한다.

인공지능기반정책관에서는 산업혁신과 사회혁신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인공지능 간 융합을 통한 혁신서비스, 블록체인 등 플랫폼 기술 개발 지원 및 혁신과 성장을 이끄는 인재양성 업무에 주력해 ‘민간을 조력하는 정부’의 역할을 수행할 방침이다.

또 현재의 인터넷융합정책관을 ‘정보통신정책관’으로 개편해 규제혁신, 디지털 포용정책, 산업, 사회 각 분야 디지털화 등 디지털 혁신을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하도록 했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의 근간이 되는 네트워크의 고도화 및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정보보호, 방송·통신 정책 전반의 종합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네트워크정책실’을 신설한다.

이와 함께 변화하고 진하는 위협에 대한 대응기능 강화를 위해 현재의 정보보호정책관을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으로 확대 개편, 네트워크의 물리적 위험과 사이버 침해를 포괄하는 통합적 네트워크 보안 등 네트워크 종합관리기능을 강화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조직개편은 정부혁신을 통한 국가경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 것으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정비된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DNA 정책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