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25일 “지난 13일 시행된 수능 문제와 정답을 정밀 검토한 결과, 이의 제기 문항 모두 ‘문제·정답에 이상 없음’으로 판정했다”고 밝혔다.
평가원에 따르면, 수능 직후인 13일부터 17일 오후 6시까지 홈페이지 이의신청 게시판에 문제·정답과 관련해 모두 675건의 이의신청이 접수됐다.
이 중 문제 및 정답과 관련이 없는 의견 개진 및 중복, 취소 등을 제외하고 실제 검토 대상이 된 문항은 51개 문항 509건이었다.
이에 평가원은 출제에 참여하지 않은 외부 전문가가 참여한 이의심사실무위원회의 최종 심의를 거쳐 51개 문항 모두에 대해 ‘문제 및 정답에 이상 없음’으로 최종 판정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논란이 컸던 문항은 국어 3번과 17번, 영어 24번이었다. 다만, 해당 문항에 대한 이의신청 역시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3번에 대한 이의신청은 없었으나 외부 자문을 거쳤다.
평가원은 국어 3번 문항에 대해 “고프의 ‘단순 관점’ 이론은 읽기 능력을 ‘해독’과 ‘언어 이해’로 단순화하여 제시한다”며 “이때 언어 이해는 말이나 글을 이해하는 데 작용하는 인지 능력을 의미하며 언어 이해는 대체로 듣기 이해로 측정되지만, 이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 바는 언어 이해이기에 문항의 지문과 정답에 이상이 없다”고 설명했다.
17번에 대해서도 “갑의 입장은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론 인격의 동일성이 보장될 수 없고, 살아 있는 신체도 인격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칸트 이전까지 유력했던 견해의 핵심인 ‘영혼’에 대한 내용과 상이해 정답을 3번으로 확정한다”고 덧붙였다.
영어 24번에 대해선 “본 지문은 culturtainment의 전개 과정에서 상업적 이익에 치우치게 되면 문화가 가진 고유한 특질이 훼손될 수 있어 둘 사이의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라며 “선택지 ②의 ‘Cash or Soul?’은 상업적 이익과 문화의 고유한 특질, 두 가치가 서로 긴장 관계에 있음을 수사학적으로 표현하고 있어 지문의 중심 내용을 가장 잘 담고 있는 제목”이라고 밝혔다.
이번 심사 결과는 평가원 홈페이지에서 열람 가능하며, 성적표는 내달 5일 전국 고등학교와 수험생 개인에게 배부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