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비리 척결하겠다는 정부도 적극 나서야...

▲민주당 교과부 위원들과 상지대 학생, 박병섭 비대위 위원장이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투데이코리아=강주모 기자] "사분위(사학분쟁조정위원회)는 '비리 구재단 복귀 결정'을 철회하고 7월 30일 회의에서 정이사 선임 결정을 유보하라!"

민주당 교과위 위원들과 상지대 박병섭 비상대책위원장은 28일, 국회 정론관을 찾아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말했다. 이들은 “온갖 부패와 비리로 배움의 터전을 수렁에 빠뜨린 장본인이 다시 복귀하여 학교를 경영하는 것을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1993년 상지대 학교법인 상지학원 김문기 이사장은 신입생 부정입학, 교수채용 비리, 용공조작 등 각종 범죄와 전횡을 저질러 당시 문민정부 사학비리 1호로 지목되어 퇴출되었던 인물이다.

당시 주요 언론매체를 통해 부패사학의 대명사로 꼽혔던 상지대는 임시이사 파견 이후 학교구성원들의 노력으로 비리에 멍든 상처를 회복해왔다.

하지만 지난 4월 29일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내린 '복귀' 결정은 상지대 구성원들의 의사와 정면으로 배치될 뿐만 아니라, 김문기 이사장에게 다시 통째로 학교를 넘겨주겠다는 것과 진배없다.

▲박병섭 상지대 비상대책위원장

박 위원장은 "만약 사분위가 7월 30일 회의에서도 정이사 체제를 구성한다면 상지대는 걷잡을 수 없는 파국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면서 "물리적 충돌과 학사 파행으로 1993년 이전 상황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초유의 비리사태를 극복하고 배움의 터전으로 거듭나려던 상지대의 꿈과 희망은 산산히 부서지고 말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안병만 교과부 장관에 대해서도 "지난 7월 6일 교육과학기술위원회 회의에서 수차례 김문기 이사장이 자격이 없다고 밝혀놓고도 정작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며 "상지대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이명박 정부의 법과 원칙은 언어도단에 불과하고, 교육현장은 혼돈과 갈등에 휩싸이게 될 것"이라고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박 위원장은 지난 2009년 1월, 사분위 위원으로 참여하던 주경복 교수를 예로 들면서 "2008년 7월 교육감 선거과정에서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가 된지 불과 이틀만에 기소됐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일사천리로 해촉을 추진하여 진보성향의 위원을 몰아낸 모습도 우리는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그는 "올초 교육계 안팎에서 벌어진 각종 비리사태에 대해 엄단하고 어느 곳보다 교육현장을 깨끗하게 혁신하겠다고 강조해 왔던 대통령이 직접 나서 부패세력들의 음모에 대해 조사하고 중단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명박 대통령은 정부중앙청사 앞에서 삭발식을 할 수 밖에 없는 원주의 상지대 학생들의 분노와 슬픔을 간과하지 말아야 하며 교육비리를 몰아내겠다는 스스로의 약속을 실천으로 입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 26일 정부중앙청사 교육과학기술부 앞에서 50여 명의 상지대 학생들과 교수가 집단 삭발식을 단행한 바 있다. 강의실에서 마주하며 진리를 가르치고 배움의 꿈을 키워나가야 할 이들이 머리를 깎고 부둥켜안은 채 눈물 흘리는 광경은 상식을 찾아볼 수 없는 현실을 대변하고 있는 듯하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