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성 있는 역사관 확립 위해 기념사업" vs "저의가 의심스럽다"

이승만.jpg



[투데이코리아=박대웅 기자] 대한민국 헌법 전문은 "불의에 항거한 4·19민주이념을 계승하고..."라는 문구가 있다. 올해로 51주년을 맞이하는 '4·19혁명'은 우리 민주주의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다. 이와동시에 이승만 전 대통령에대한 평가도 '국부(國父)'에서부터 '독재자'까지 극명하게 대비된다.

4·19혁명 발발 51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이승만 전 대통령에 대한 역사적 재조명 바람이 거세다. 특히 올해는 이승만 전 대통령의 양자 이인수(80.명지대 교수)씨가 건국대통령이승만박사기념사업회와 함께 19일 오전 9시 서울 수유동 국립4·19민주묘지를 참배해 헌화하고, 경찰의 총탄에 맞아 숨진 학생과 유가족들에게 사과 성명을 발표한다.

이 씨는 최근 인터뷰에서 "이승만 대통령은 독립운동과 건국운동에 모두 참여해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게 한 '건국 대통령'인데 그간 역대 대통령들이 대한민국 건국의 역사를 무시하고 자기 영광만을 위해 일해 온 것 같다"며 "젊은이들에게 정체성 있는 역사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제대로 된 이승만 대통령기념관을 건립하고 이화장 등 유적 보전에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성명에 임하는 이유와 함께 이승만 전 대통령에 대한 역사적 재조명을 촉구했다.

이와함께 지난 15일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은 '이승만 건국대통령 동상 건립 소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이승만 대통령 동상 건립을 위한 모금운동에 들어간다고 선언했다. 동시에 그간 이 전 대통령 동상을 세우자고 주장한 조갑제 전 '월간조선' 대표와 뉴라이트 계열, (사) 건국대통령 이승만박사기념사업회 등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의 역사적 재조명 못지 않게 반대의 목소리도 높다. 정동익 4월혁명회의 상임의장은 인터뷰에서 사과성명을 발표하는지도 몰랐다고 강조하며 "이승만 전 대통령이 반민특위를 해산하고 친일파를 등용했으며 영구집권을 위해 헌법을 개정해가며 공무원·경찰을 동원해 부정선거를 치른 것을 세상이 다 안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어물쩍 넘어갈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전 대통령은 '3·1`5부정선거'에 대해 몰랐다"는 이인수씨의 발언에 대해 정 의장은 "(부정선거를) 몰랐다고 말하는 것 자체가 직무유기이고 책임회피"라며 비판했다. 또 민족문제연구소 방학진 사무국장은 인터뷰에서 "이승만 기념사업회가 동상 서명운동과 박물관 등 기념사업을 확장해 이승만 전 대통령을 미화하고 복권하려는 움직임으로 본다"며 "그 저의가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한편, 4·19혁명은 1960년 3·15일 제4대 정,부통령선거에서 당시 집권당인 자유당이 대통령 이승만과 이기붕 부통령의 당선을 위해 전국적인 부정선거를 실시하면서 촉발됐다. 그 후 마산에서 당시 고교생이던 김주열군의 시신이 얼굴에 최류탄이 박힌채 마산 앞바다에 떠오르면서 분노한 군중들이 경무대(지금의 청와대) 앞 까지 진출해 데모를 하자 경무대(경찰)이 시위 군중을 향해 실탄을 발포하는 등 강경 진압하면서 확산됐다. 1960년 4월 26일 이승만 전 대통령은 하야해 미국 하와이로 망명했고 이기붕 부통령 일가족는 자살하는 등 비극을 맞이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