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코리아=박대호 기자] 북한이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등 국가 보건복지 정보에 대한 해킹을 시도한 사실이 드러났다.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윤석용 의원이 보건복지부 산하 '보건복지사이버안전센터'로부터 제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정부가 북한 관련 IP주소로 확인한 곳으로부터 올 들어서만 41차례의 해킹 시도가 있었다. 지난해 공격 건수는 11건이었다.
올해 공격대상별 공격 횟수를 보면 건강보험공단이 24차례로 가장 많은 공격을 받았다. 국민연금공단이 5차례,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보건복지사이버안전센터가 각각 6건으로 뒤를 이었다.
건보공단 자료에는 보험자와 부양자, 피부양자 등 가족관계는 물론 소속 회사 등 사업장 이력정보가 들어 있다.
이들 정보가 유출되면 테러대상을 지능적으로 선별할 수 있기 때문에 위협적이라고 윤 의원은 지적했다.
국민연금의 경우 주식 거래 정보나 투자계획 등이 유출되면 북한이 후발적 개입을 통해 수익을 낼 수 있으며 해당 수익금을 북한 정부의 은밀한 자금이나 국내 잠입조직 활동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윤 의원은 우려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산자료에는 개별 국민의 질병정보와 치료기록 등 민감한 개인의료 정보가 들어 있는 만큼 상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백신접종 비율이나 취약한 질병 정보는 생물학전에 악용될 소지가 있다고 윤 의원은 강조했다.
이밖에 보건복지인력개발원과 국립재활원, 국립의료원, 국립소록도병원 등도 공격 대상이었다.
특히 복지부와 산하기관에 대한 해킹시도는 2009년 3349회에서 지난해 1만7091회로 약 6배로 늘어났다. 올해 들어서도 상반기에만 1만4669회의 해킹 시도가 있었다.
해킹시도는 대부분 우리나라의 좀비PC를 통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IP주소로 추적된 국가별로는 중국을 경유하는 것이 제일 많았다.
윤 의원은 "보건복지 정보망이 뚫리면 해커가 우리 국민 개개인의 거의 모든 정보를 손바닥에 놓고 볼 수 있게 된다. 복지부와 산하기관들이 일제 보안점검을 받을 수 있도록 국정원이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