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코리아=박대호 기자] 부산저축은행그룹 계열사 5곳과 삼화·보해·도민·전일·제주으뜸저축은행 등 총 10개 부실 저축은행에 대한 검찰 수사가 2일 마무리됐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중수부·검사장 최재경)는 이들 10개 저축은행 경영진 등의 비리를 수사한 결과 76명을 구속기소하고 95명을 불구속기소하는 등 총 171명을 재판에 넘겼다고 2일 밝혔다.
이들 은행은 대부분 현행법을 어기고 대주주·경영진에게 거액을 대출해 줬고, 이같은 비리를 숨기기 위해 조사·감독에 나선 금융감독당국 관계자 등에게 금품이나 향응을 제공했다.
특히 부산저축은행그룹은 바지사장을 내세워 120개가 넘는 특수목적법인을 설립해 직접 건설·해외개발·골프장 사업에 뛰어들었지만, 제대로 성사된 사업이 드물 정도인 등 부실만 키웠다.
그 결과 대주주·경영진은 물론, 금품·향응을 제공 받고 불법행위를 눈감아 준 금융감독당국 관계자, 돈을 받고 뒤를 봐준 정·관계 인사, 이들을 연결시켜 준 로비스트 등이 줄줄이 적발된 것.
중수부는 지난 3월3일부터 이날까지 245일간 각종 비리를 저지른 부산저축은행그룹 임직원과 이들로부터 금품을 받은 로비스트, 정관계 인사 등 총 76명(구속 42·불구속 34)을 기소했다.
삼화저축은행 비리를 수사한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1부(부장검사 권익환)는 지난 3월 수사에 착수한 이래 이날 현재까지 신삼길 회장 등 경영진 5명을 비롯 25명(구속 4·불구속 21)을 기소했다.
보해저축은행 경영진의 비리를 수사한 광주지검 특수부(부장검사 신호철)도 같은 기간 오문철 대표 등 경영진과 대주주, 금융감독당국 간부 등 38명(구속 21·불구속 17)을 법정에 세웠다.
춘천지검은 도민저축은행 비리를 수사, 채규철 전 회장 등 대주주·경영진 4명과 등 총 5명(구속 1·불구속 4)을 재판에 넘겼다.
이밖에 전주지검은 전일저축은행 비리와 관련 이 은행 전무 등 15명(구속 7·불구속 8)을, 제주으뜸저축은행 비리를 수사한 제주지검은 총 12명(구속 1·불구속 11)을 기소했다.
다만 서울중앙지검과 광주지검 공히 쫓고 있는 브로커 이철수씨 등 검찰의 수사 착수와 동시에 잠적한 10여명은 여전히 법망을 피해 활보하고 있는 상태다.
검찰 관계자는 "현재 주요 피의자가 도주하는 등 마무리짓지 못한 부분은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으로 이첩, 계속 수사할 예정"이라며 "철저히 수사해 엄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단장 권익환 부장검사)이 지난 9월 영업정지된 저축은행 등을 대상으로 수사를 진행 중인 점을 감안하면, 이번에 마무리되는 수사는 1차 수사인 셈이다.
검찰과 경찰,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국세청이 함께 꾸려 지난달 5일 공식 출범한 합동수사단은 3개팀 80여명 규모다.
합동수사단은 출범 이래 불법·부실대출을 일삼은 토마토저축은행 회장과 여신담당 전무 등을 구속하고 파랑새저축은행 대주주 등을 소환 조사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