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앞둔 민감한 시기에 1급 기밀사항 수석전문위원에 의해

NISI20120521_0006378677_web.jpg


[투데이코리아=강주모 기자] 새누리당의 심장과 다를 바 없는 당원명부가 외부로 유출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새누리당은 자체적으로 해당 수석전문위원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의혹을 밝혀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대선 경선을 앞둔 민감한 시기인데다 당의 1급 기밀사항이, 그것도 당 수석전문위원에 의해 스팸문자업체에 건너간 것으로 확인돼 유출로 인한 후폭풍은 결코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수원지검 형사2부(부장검사 이종근)는 당원 명부를 유출시킨 이모씨가 지난 4·11총선을 앞두고 스팸문자업체에 수백만원을 받고 팔아 넘긴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외부로 유출된 당원 명부는 220만명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으며 당원 명부에는 당원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는 물론 주소, 전화번호 등 신상이 자세히 담겨 있다.

당 지도부는 이 때문에 유출된 당원 명부가 여당내 특정 캠프나 야권에 건너갈 경우 대선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새누리당은 어떻게 한 수석전문위원이 220만명의 당원 명부를 아무런 통제없이 외부로 빼돌릴 수 있었는지부터 의문이다. 새누리당에 따르면 당원명부 접근이 가능한 직원은 조직국의 9명이 전부다. 이씨는 당시 청년국장이었기 때문에 접근 권한이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당원 명부가 중요한 정보인 만큼 다양한 선거에 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사업적으로도 사용이 가능해 다른 공범자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실제 지난 2007년 새누리당(전 한나라당) 대선 경선 당시,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 양측은 당원명부를 확보하기 위해 쟁탈전을 벌이기도 했다.

게다가 최근 검찰의 '내곡동 사저 의혹'과 '민간인 불법사찰' 수사 결과 발표 이후, 또 다른 '돌발악재'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있다.

야권이 내곡동 사저와 민간인 사찰 등에 대해 국정조사 청문회로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사건 마저 불거져 도덕성을 문제삼을 경우 파장은 겉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서병수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현재까지는 저희 당에서도 정확한 사실관계 파악중에 있다. 만약 검찰이 얘기하는 혐의가 사실이라면 공당으로서 가장 중요시하는 당원 명부를 개인 사익을 위해 함부로 점용한 것이고, 저는 사무총장으로서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한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수사결과에 대해 내부 징계 등 엄중한 책임을 묻는 것은 물론, 철저히 확인하고 다시는 이런 일들 재발되지 않도록 조직을 쇄신하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