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계산시간 단축..관광객 편의를 위해"

[투데이코리아=이규남, 정단비 기자] "면세점인데, 외국동전은 사용 못한 다니요?!"
최근 국정감사에서 각종 특혜를 받은 것이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는 호텔신라(사장 이부진)가 운영하는 신라면세점이 '외국동전은 사용하지 못 하는' 의아한 정책을 수립해 관광객들을 혼란을 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만약 신라면세점에서 엔화로 1100엔의 물건을 사고 싶다면 1200엔을 지불해서 거스름돈을 돌려받든지 원화로 100엔에 대해 지불해야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거스름돈은 물론 원화다.
이에 대해 호텔신라 커뮤니케이션팀 서모 과장은 "계속 받다가 갑자기 동전을 안받는 것이 아니고, 원래는 안 받았었는데 그동안 잠시 받았던 것"이라며 "오히려 동전을 사용하면 관광객들의 계산시간이 오래 걸리고 더 불편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만약 위안화는 동전을 받고 엔화는 받지 않는다면, 문제가 될 것인데 모든 동전은 다 안 받기 때문에 문제 될 것이 없다"며 "회사 정책이 변경되서 그런 것 뿐이다"라고 '이상할 것 없다'는 말을 전했다.
하지만 면세점 내에서 직접 판매를 하는 직원들의 입장은 조금 달랐다.
한 직원은 "관광객들에게 동전을 사용하지 못 한다고 설명해야 할 때마다 난감하다"며 "상부에서 외국어로 해당 상황을 설명하는 메뉴얼이 내려오긴 했으나 우리가 봐도 헷갈린다"고 난색을 표하기도 했다.
다른 직원 역시 "다시 환율에 맞춰 계산을 해야하기 때문에 계산시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며 "어떤 분은 '왜 원화로 주냐. 원화는 필요없다'며 화를 내기도 한다"고 말해 관광객들이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는 뉘앙스를 비쳤다.
이러한 가운데, 일부에서는 이를 두고 '환전수수료를 아끼려는 꼼수가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또 이에 양강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롯데면세점의 공격적인 마케팅에 따른 대응 마케팅 비용 급증으로 부진했던 호텔신라의 3분기 실적을 '이 돈이라도 아껴서 만회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까지 나오고 있다.
한편 신라면세점은 지난 14일 국정감사에서 화장품과 향수 등을 사실상 독점 판매 혜택을 받고 있는 사실이 드러나 곤욕을 치뤘다.
민주통합당 이윤석 의원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지난 2008년 면세사업 제2기 운영에 참여한 롯데와 신라면세점과 계약시 매출액 상위 4개 품목인 주류와 담배, 화장품, 향수 등을 각각 2품목씩 나눠 판매권을 부여했으며, 실제 주류와 담배·화장품·향수 등 4품목은 내외국인들에게 손꼽히는 인기품목으로 한국관광공사는 해당 4품목을 취급했던 제1기 운영(2004~2007년)시보다 누적수익에서 약 980억원의 손해를 본 것으로 확인돼 각 면세점의 매출액 등 영업실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신라면세점은 서울 한양도성(옛 서울성곽)의 주변 국유지 일부를 수년 동안 자사가 운영하는 면세점 주차장 부지로 운영해 특혜 의혹에 대한 논란이 일기도 했다.
호텔신라는 한양도성 인근 면세점 건물을 건축하면서 신축 허가시 필요 요건인 주차장 부지 확보를 위해 도성 주변 국유지(307.21㎡)를 문화재청으로부터 허가받아 지난 2006년부터 유상 임대해 사용해오고 있다. 3년 단위로 갱신되며 올해 5441만원의 임대료를 납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지난 23일 진보정의당 강동원 의원은 문화재청의 국정감사에서 "국유지는 공공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임대된 사례는 많지만 호텔신라의 경우처럼 기업의 장사를 위해 임대된 경우는 없다"고 지적했으며, "국가지정문화재 부지 중 사용허가를 해준 것은 대부분은 공공성이 있거나 문화재보호구역 안에 방문객 편의를 위한 개인 매점 운영 정도의 작은 공간 밖에 허용이 안됐는데, 호텔신라에 내준 주차장 부지는 이를 넘어선 특혜"라고 지적한 바가 있다.
앞서 신라면세점은 지난 4월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에서 입점업체로부터 최대 55%의 판매수수료를 뜯어낸 것으로 드러나 비난을 받기도 했다.
신라면세점은 국내 브랜드의 20.5%, 해외 브랜드의 3%에 55% 이상의 수수료를 책정, 국내·외 브랜드간 수수료 차이를 둔 것으로 확인됐으며, 수수료가 55% 이상인 업체 중 해외브랜드가 8.5%, 국내브랜드는 27.8%인 것으로 나타나 외국계 대형 브랜드를 우대하면서 국내 납품업체에는 횡포를 부렸다는 지적도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