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로 인한 피해신고는 불법스팸대응센터로 해야 해"

휴대폰.JPG
▲사진=스마트폰 문자 스미싱 사건 급증 [출처=방송화면 캡쳐]

[투데이코리아=서소영 기자] 추석을 앞두고 택배를 사칭한 문자 스미싱 사건이 급증하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지난 19일 앱 개발 벤처 기업 스윗트래커는 "택배 업체를 사칭한 문자를 보내 스마트 폰에 악성코드를 심는 수법의 스미싱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는 택배 업체를 사칭한 뒤 '택배 주소 변경'등의 문자를 전송해 스마트 폰에 악성코드를 심는 것이다.

해당 문자에 씌어진 웹 사이트 주소(URL)를 클릭하게 되면 가짜앱이 설치돼 해킹이 된다.

가짜 앱이 스마트 폰에 설치될 경우 임의로 비밀번호가 설정되고 비밀번호를 알기 위해서는 비용까지 결제해야 한다.

때문에 스미싱 의심 문자를 받으면 웹사이트 주소를 클릭하지 말고 바로 삭제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만약 가짜 앱을 실수로 다운로드한 경우는 기기를 초기화해 앱을 완전히 삭제해야 한다.

이에 대해 스윗트래커 관계자는 "'스마트택배'는 인터넷 쇼핑몰이나 홈쇼핑 등으로 주문한 물품의 배송 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앱이어서 추석을 앞두고 다운로드가 많았졌다"며 "이를 틈탄 스미싱 문자가 급증해 이용객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런 스마트폰 사칭 스미싱에 당했을 때는 불법스팸대응센터 콜센터인 118번이나 경찰서에 신고해 구제방법을 문의해야 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