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2015년 주요‘알레르기’ 질환 진료 인원 공개
[투데이코리아 = 세종시 이범석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환경의 날을 맞이해 환경 관련 대표적인 3개 질환(알레르기 비염, 천식, 아토피 피부염)에 대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발표 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2010년 555만7000명에서 2015년 634만100명으로 14.1% 증가한 반면 ‘천식’ 환자는 2010년 223만4000명에서 2015년 166만4000명으로 25.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도 2010년 105만3000명에서 2015년 93만3000 명으로 11.4% 감소했다.
또한 2015년 건강보험 적용인구 기준 ‘알레르기’ 질환을 연령대별 진료 인원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12세 이하 연령대에서 가장 많이 진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 비염’의 경우 전체(634만1000명) 환자 중 12세 이하가 190만4000명으로 저체의 30.0%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30대(86만8000명)가 13.7%, 40대(81만7000명)가 12.8% 순으로 나타났다.
천식은 전체(166만4000명) 환자 중 12세 이하(58만2000명)가 35.0%로 가장 많았고 60대(19만4000명)가 11.6%로 뒤를 이었다.
아토피 피부염 역시 전체(93만3000명) 환자 중 12세 이하(45만4000명)가 48.6.%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13세~19세(11만8000명)가 12.7%, 20대(11만명) 11.8% 순으로 나타났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인구 10만명 당 질환별 환자수를 보면 ‘알레르기 비염’은 2010년 1만1363명에서 2015년 1만2559명으로 10.5% 증가했으며 ‘천식’과 ‘아토피 피부염’은 각각 27.8%, 14.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5년 인구 10만명 당 질환별 연령대별 환자수를 보면 3개 질환(알레르기 비염, 천식, 아토피 피부염 ) 모두 다른 연령대 보다 12세 이하에서 가장 진료를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장광천 교수는 아동·청소년기에 주요 ‘알레르기’ 질환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아동·청소년 시기는 아직 신체의 발달이나 면역의 성숙이 완성된 상태가 아니고 출생 전 태아기 상태의 환경과는 다른 출생이후의 환경적인 노출, 음식 변화, 감염 등 여러 가지 외부변화에 대응하고 적응하는 과정에서 변화가 많은 시기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한편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병원 진료를 받은 주요 ‘알레르기’ 환자의 6개년 평균을 분석한 결과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환절기인 9월(가을)에 118만5000명이 진료를 받아 가장 많았으며 ‘아토피 피부염’ 환자는 7월(여름)에 15만3000명, ‘천식’ 환자는 4월(봄)에 38만6000명이 각각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가장 많았다.
건강보험 관계자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해 “아동기에 광범위한 부위의 증상이 있었거나 알레르기 비염 또는 천식이 동반된 경우 및 부모나 형제에게서 아토피 피부염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와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연령이 낮은 경우, IgE(면역글로블린) 수치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주의해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