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露는 친선관계" 핵실험 사전통보 가능성 대두

[투데이코리아=오주한 기자] 북한 5차 핵실험이 강행된 9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김정은에게 축전을 보냈다고 이 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중통은 "로씨야련방(러시아연방) 대통령 '웨. 뿌찐(블라디미르 푸틴)'이 9일 축전을 보내여왔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김정은에게 "건강하시고 '성과'를 거두실 것을 축원한다"고 말했다. 또 "러시아와 북한은 전통적으로 친선적 관계"라며 "호혜적 쌍무협조를 통해 여러 분야에 걸쳐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은 "북한 창건 68돌에 즈음해 충심으로 되는 축하를 드린다"며 축전이 북한 건국절(9.9절) 축하 차원에서 보낸 것임을 밝혔다. 그러나 북한은 이 날 5차 핵실험으로 '보답'함으로써 푸틴 대통령의 체면을 구겼다.
푸틴 대통령이 5차 핵실험을 알고도 축전을 보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북한 경제는 러시아에 나날이 종속되는 중이다. 김정은은 전세계적 규모의 대북(對北)제재와 우간다 등의 협력중단으로 러시아에 기댈 수밖에 없다.
집단지도체제인 중국은 1인 독재체제인 북한에 연일 개혁개방을 요구하고 있기에 북한으로서는 믿을 수 없다.
반면 북한과 같은 1인 독재체제인 러시아는 북한에 미사일 부품을 수출하고 올 초 '불법체류자' 즉 탈북자 송환 협정에 서명하는 등 북한의 치부를 건드리지 않으면서 돕고 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이 러시아에 통보도 없이 푸틴 대통령 축전 접수 당일 5차 핵실험을 할 경우 러시아의 심기를 건드리게 된다.
러시아는 북한을 통제 하에 두고 대미(對美) 협상카드로 사용한다는 전략이기에 북한의 돌발행동을 환영할 리 만무하다. 때문에 푸틴 대통령이 북한의 5차 핵실험을 미리 통보 받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러시아는 북한의 1~4차 핵실험 당시 유엔안보리 제재에 대부분 동참했지만 자체적인 제재는 가하지 않고 있다.
작년 미국 국영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무기 수출 등으로 인해 제재 대상으로 지목된 북한 선박이 러시아를 수시로 드나든다고 폭로했다.
유엔 내부에서도 러시아·중국 등의 물밑 대북(對北)지원으로 인한 제재 실효성을 의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올 2월 AFP통신이 입수한 유엔 기밀보고서는 "제재들이 북한 핵·미사일을 막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