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MJ와의 경협 돕겠다 약속" 北 문건 긴급입수




ⓒ투데이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투데이코리아=오주한 기자] 정몽준(64) 아산재단 이사장 겸 현대중공업 대주주 실명이 기재된 북한 문건이 근래 본지에 발굴됐다.

5차 북한 핵실험이 지난 금요일(9일) 전격 감행돼 각종 대북(對北)제재에도 불구하고 '마르지 않는' 북한 자금줄 원천이 주목받기 직전이었다.

이 문건은 2001년 10월 10일, 북한 '구국의 소리' 편집부에 의해 작성됐다. 구국의 소리 방송은 대남(對南)공작기구인 노동당 통일전선부가 운영한다.

문건은 본 기자가 과거 민간 대북 라디오방송국 자유북한방송 근무 당시 국내 정보기관에 대한 대북업무 협력을 목적으로 이같은 문건 입수가 가능한 '합법적인 인물'로부터 재입수했다.

이후 문건을 근래 재차 확인하는 과정에서 정 이사장 실명이 발굴됐다. 실명 발굴에는 모 정당 A의원 등의 역할도 컸다.

문건에 따르면 정몽준 이사장 실명은 김정일이 故 정주영 전 현대그룹 명예회장과의 면담 과정에서 직접 언급했다. 고인(故人)은 98년 10월과 2000년 6월에 각각 방북(訪北) 후 김정일과 만났다. 모두 문건이 작성되기 이전이다.

문건은 김정일이 고인과의 만남에서 "정회장의 아들 정몽준이 보는 축구협회의 상황까지 헤아려줬고 앞으로 남북경협을 아낌 없이 도와주겠다는 약속까지 했다"고 주장했다.

또 故 정주영 전 명예회장이 김정일에게 북한 원유 발견 시 "자기들(우리들)에게도 돌려 달라"고 요청했다고 주장했다.


2002년 16대 대선에 출마한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
'10.4선언' '포용정책' 주역인 노무현 당시 후보와 단일화를 했다.


이후 정몽준 이사장은 남북(南北)교역 중단을 골자로 하는 '5.24 대북제재 조치' 해제를 언급하고 2012년 대선 출마 당시에는 남북 경제협력(경협)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명박 정부는 각종 남북 경협을 통해 북한으로 흘러들어가는 우리 자본이 북핵(北核) 개발자금으로 전용된다고 판단하고 천안함 피격사건을 계기로 5.24 조치를 발동했다.

2012년 6월 20일 파이낸셜뉴스 보도 등에 의하면 당시 18대 대선 후보였던 정 이사장은 '인도적 차원'이라는 전제를 붙이면서 남북 경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2014년 1월 8일 MBN 보도 등에 따르면 대선에서 낙마한 정 이사장은 동년(同年) 1월 7일 새누리당 의원 청와대 초청 만찬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5.24 조치 완화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약속을 안 지켜서 문제"라며 일언지하에 거절했다.

정 이사장이 직접 대북 경협에 발벗고 나선 것으로도 알려진다. 2014년 9월 18일 문화일보 등 보도에 따르면 동년 9월 17일 정 이사장은 자신의 트위터에서 중국 항저우(杭州) 알리바바 본사를 방문했다며 북한 IT산업 진출을 권유했다고 밝혔다.

북한 김정일이 정몽준 이사장에 대한 "아낌 없는" 남북 경협 지원을 약속하고, 이후 정 이사장이 대선까지 도전하면서 남북 경협 재개에 노력한 모양새가 된다. 정 이사장이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5.24 해제 권한을 갖게 된다.


ⓒ투데이코리아


▲ 정몽준 이사장 실명이 언급된 북한 문건 내용이 '거짓'일 가능성 ▲ 정 이사장이 '순수한 차원'에서 남북 경협 재개를 촉구했을 가능성 ▲ 정 이사장의 남북 경협 노력에 의한 북한의 핵실험 자금 실제 확보 여부 불확실성 등을 감안해 본지는 정 이사장 측근으로 알려진 정광철 전 보좌관의 설명을 들으려 했다.

그러나 정 전 보좌관은 만난 후 구체적 설명을 원하는 본지 요구는 외면했다.

본지는 철저한 '팩트 기반' 보도를 위해 정 이사장 측과 만나 충분한 해명준비 시간도 협의하려 했지만 정 전 보좌관은 '단답형'으로 모든 의혹을 최종 부인했다.

정 전 보좌관은 도리어 "왜곡 보도를 해서 명예를 훼손할 경우 민형사상 책임을 면할 수 없다"고 '협박조'로 나왔다.

또 "협박성 연락을 계속 한 것은 별도의 공갈죄에 해당할 수 있다"고 언론의 정당한 취재 과정을 '공갈'로 매도했다.

정 전 보좌관이 충분한 설명 없이 단답형으로 모든 의혹을 부인한만큼 북한 핵실험 자금과 정몽준 이사장 간 연결고리 의혹은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현재 본지에는 정몽준 이사장 관련 증언들이 속속 입수되고 있다. 본지는 '민형사상 책임과 공갈죄를 면하기 위해' 철저히 사실에 기반한 후속취재로 '국민의 알 권리'라는 언론 본연의 임무에 매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