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들 "고위급·軍·평양만 뱃속 챙겨"

[투데이코리아=오주한 기자] 북한 함경북도에 홍수피해가 발생해 많은 사망자와 이재민이 발생한 가운데 북한이 연일 외부지원을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속셈은 '따로' 있다는 것이 국제사회 중론이다.
다수 탈북자 증언에 따르면 북한 지원 식량·물품은 1차로 고위급, 2차로 북한군, 3차로 평양에 배분된다. 더구나 중간에서 당군(黨軍)간부들에 의한 무단반출이 이뤄진다. 때문에 재해지역에 전달되는 물량은 거의 없다.
유엔 등 외부 감시인들이 투명한 배분 확인을 위해 함께 입북(入北)하지만 효과는 거의 없다. 감시인들이 보는 앞에서 주민들에게 배분한 뒤 철수하면 다시 강탈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정확한 실태는 북한 외교관 출신인 김동수(가명) 전 국가안보통일정책연구소 책임연구위원의 2009년 증언에서 드러난다.
김 전 연구위원에 따르면 북한 외무성 산하에는 태스크포스(TF)인 '큰물피해(홍수)대책위원회'가 별도로 존재한다.
이 위원회는 유엔식량농업기구 민족위원회 등 전문부서를 두고 농업성, 중앙통계국 등과 협력해 홍수피해 통계를 조작한 뒤 유엔 등에 지원을 요청하는 임무를 맡는다.
정부가 19일 "(북한의 지원 요청이) 있다 하더라도 현 상황에서 이뤄질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고 밝힌 것도 북한의 이 같은 기만성 때문이다.
하지만 야권은 북한 홍수피해를 지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남북문제를 푸는 하나의 대안으로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배숙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은 비대위 회의에서 "인도적 지원으로 대화 물꼬를 트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