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맡긴 책임에 공백 없도록 할 것"

[투데이코리아=박진영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4일 대국민담화에서 사퇴는 사실상 거부했다.
"국내외 현안이 산적한 만큼 국정은 한시라도 중단되어서는 안 된다"며 "정부는 본연의 기능을 하루속히 회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통령 임기'도 언급해 일부에서 요구하는 사퇴는 어렵다는 입장으로 풀이됐다.
박 대통령은 또 "특정 개인이 이권을 챙기고 여러 위법행위를 저질렀다고 하니 너무나 안타깝고 참담하다"며 "국민 경제와 국민 삶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바람에서 추진한 일"이라고 책임 최소화를 시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진상·책임 규명에 최대한 협조" "특검 수용" "저도 모든 책임을 질 각오"를 언급했지만 "정부 본연 기능 회복" "국민께서 맡겨주신 책임에 공백이 생기지 않겠다"고 말해 사퇴 불가 입장을 재차 시사했다.
최순실 씨에 대해서는 "마음 속으로 모든 인연을 끊었다"며 최 씨 수사에서의 외압은 없을 것임을 나타냈다.
"가족 교류도 끊고 외롭게 지냈다" "홀로 살면서" "가장 힘들었던 최 씨가 시절 곁을 지켜줬다" "저 스스로를 용서하기 어렵다" 등을 언급하면서 감정에 호소해 자신의 책임을 최소화하려는 듯한 모습도 보였다.
박 대통령은 "진심으로 사과" "국민께 용서를 구한다" "깊이 머리 숙여 사죄" 등 세 차례에 걸쳐 사죄 뜻을 나타냈다.
그러나 야당이 '최순실 게이트'를 적극 활용하려 들고 진보성향 시민단체들도 야당에 호응하고 있어 민심 수습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 정서상 민감하게 다가오는 '사이비 종교' '유흥업소' 등 갖은 추문까지 이번 사태에 연루돼 일반 시민들의 분노도 쉽게 가라앉지는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외롭게 지냈다" "가장 어려웠던 시절" 등 박정희 대통령, 육영수 여사 서거를 언급함에 따라 콘크리트 지지층 결집에는 어느 정도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