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약 3300억원 발행... 추석기간 '최대변수'

▲김태혁 ‘萬事亨通’
▲김태혁 ‘萬事亨通’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성남시장 시절부터 지역내에서만 유통되는 지역화폐를 발행했다.
 
이 지사는 "지방경제를 살려 나라전체 경제를 결과적으로 살찌게 하려면 적은 비용으로 보다 큰 효과가 있는 지역화폐는 강자 중심에서 벗어나 다함께 살아가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이 지사는 "보릿고개 때 쌀 한 말이 만석꾼에게 갈 때와 소작농에게 갈 때 그 가치는 같을 수 없다. 지역화폐 논란을 정면돌파, 뿌리내리게 하겠다“고 밝혔다.
 
전통시장에 돌아가는 지역화폐은 식당에서 미용실로, 동네상점에서 다시 시장으로, 골목을 돌고 돌아 요즘처럼 어려운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지역화폐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유일하게 발굴, 시행하고 잇다.
 
특정 지역에서 현금처럼 사용하는 지역화폐는 올해는 약 3300억원으로 늘어날 것이 예상됐다.
 
지역화폐는 이점이 많다.
 
법정화폐와 달리 지자체가 발행하고 관리를 맡아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소상인과 영세상인 가맹점 수수료를 낮추고, 해당 지역 기업과 공무원 복지수당 등을 대체해 골목 상권을 활성화하고 상권을 보호하는 일석이조 효과도 있다.
 
단점 역시 많다.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은 일회성에 그치기 때문에 기념품 수준에 머무르는 실속 없는 화폐로 전락할 수 있다. 주로 지역 기업과 공무원에 의존하다 보니 화폐 자생력도 약하다.
 
위·변조 가능성도 높아 각별한 보안 대책이 필요하다. 지역 전자화폐는 기존 체크카드 인프라를 활용, 편법으로 발행하는 사례도 ‘비일비재’하가 때문이다.
 
지역내에서만 돈이 머물어 나라 전체 경제에 큰 도움이 못 된다는 것은 부인할수 없는 사실이다.
 
지역화폐 사용 때 할인혜택을 준다지만 결국 나랏돈으로 메워 재정 건전성을 해친다라는 반론도 만만찮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골목상권에 상당히 효과가 있다고 이미 증명됐다.
 
경기도의 지역화폐 충전금액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뿐만 전국 여러개 도시에서도 지역화폐를 사용하고 있고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지난 25일 경기도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집계한 자료를 보면, 지역화폐 충전금액이 2.4배 늘어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지역화폐 효과를 두고 정치권과 학계는 연일 난타전을 벌이고 있다
 
특히 "지역화폐는 오히려 손해"라는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연구보고서가 논란의 중심이 되고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하반기 ‘최대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지역 화폐가 민족 최대명절인 추석기간 동안에 국민들에게 좀 더 명확하게 평가를 받을 것이라는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