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오후 4시 30분 정례 브리핑서 개편안 발표
지역별 맞춤형 대응체계 논의 이뤄져

▲ 울산 중구 한국건강관리협회 울산지부 접종실 앞에서 시민들이 거리두기를 지키며 기다리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 울산 중구 한국건강관리협회 울산지부 접종실 앞에서 시민들이 거리두기를 지키며 기다리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코리아=이정민 기자 | 정부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장기전에 대비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단계와 방역 조처 등을 담은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을 1일 발표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이날 회의를 통해 현재 3단계로 나눠져 있는 거리두기 단계에 대한 개편안을 결정하고 오후 4시 30분 정례 브리핑을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개편은 지난 1월20일 이후 이번이 세번째다. 당국은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된지 9개월이 흐르고 있는 시점에서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그동안의 방역 경험과 의료 대응 체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정밀하고 정교한 개편안을 내놓을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각 부처와 지방자치단체도 참여해 활발한 토의를 벌일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거리두기 조치는 전국적으로 획일한 조치와 높은 방역 수위로 인해 사회적 비용이 과도하게 든다는 지적이 있어 이에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또 기존의 신규 확진자 수가 50명 이하면 1단계, 50~100명이면 2단계, 100명 이상 발생하면 3단계로 분류되는 조치가 더욱 세분화되고 지역별로 확진자 규모 차이에 따른 대응체계가 적용될지 주목된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의료 대응 체계에 대한 개편을 위한 단계별 '맞춤형 의료 대응 방안'도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박능후 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달 열린 생활방역위원회 회의에서 “전국적으로 일원화된 대응보다는 권역별로 세분화하고 지역 상황에 맞는 대응을 준비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강도태 중대본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2차관)도 최근 기자 간담회에서 "획일적인 조치보다는 '정밀 방역'의 형태로 개인과 지역, 권역, 지자체의 자율과 책임을 큰 틀로 한 거리두기 개편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