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혁 ‘萬事亨通
▲김태혁 ‘萬事亨通
지난 4, 7 지방선거 승리에 취해 있는 국민의힘과 안철수의 국민의당이 합당에 대해서는 쉽게 다가서지 못하고 있다.
 
서로 다른 '셈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야권 통합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
 
통합 협상의 실질적 키를 쥐고 있는 주호영과 안철수 두 사람은 합당 문제에 대해 '전략성 모호성' 운운하며 시큰둥한 반응이다.
 
대한의사협회 정기총회에 나란히 참석해 정부의 백신 확보 실패에 대해서는 한목소리로 비판했지만, 합당 문제에는 한발 뒤로 물러났다.
 
특히 안철수는 “당원들 사이에서 합당 찬성과 반대 의견이 팽팽하다. 찬성하는 분 중에서 이러이러한 것이 필요하다는 조건부 찬성을 하는 분들도 많다”고 밝혔다.
 
이러한 분위기 때문에 정치권에선 단기간 내 합당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주 대표 역시 “순리대로 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주 대표는 "국민의당의 결론에 따라 어떻게 할지 정하겠다"고 밝혔고, 안 대표는 "합당 문제로 주 대표를 따로 만날 계획이 없다"고 거리두기에 나섰다.
 
안 대표도 “서두를 것이 하나도 없다”는 입장이다.
 
안 대표는 "가능하면 당원의 의사를 반영하는 형태로 결정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전당원투표 실시에 무게를 둔 발언이다.
 
전당원투표에서 합당이 결정돼도 내용과 절차, 형식 등을 따지면 합당에 속도를 내기는 쉽지 않다.
 
합당에 대한 느긋함은 국민의힘도 마찬가지다.
 
국민의힘은 오는 30일 새 원내대표를 선출한 뒤 전당대회를 여는데, 국민의당 안에서는 국민의힘 신임 지도부와 합당을 논의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합당 시점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최근 두 전직 대통령 사면론 등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하락세로 돌아선 것도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배경이다.
 
두 당 모두 '급하지 않다'며 통합 속도 조절에 나서면서 합당 논의가 장기화할 수 있다.
 
지난 4, 7 지방선거에서 국민들 앞에서 당장이라도 합당할 것처럼 호들갑을 떨던 두당의 ‘이해타산’ 약발이 떨어진 느낌이다.
 
국민의 힘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대국민 사과 이후 불과 4개월 만에 두당 모두 과거로 회귀하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