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현준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이주열 총재는 4일 ‘범금융 신년 인사회’를 통해 “팬데믹 이후 부채누증, 자산 불평등과 같은 우리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이 한층 심화되었으며, 친환경·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은 그 방향과 속도를 가늠하기조차 힘든 상황”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이 총재는 “경기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전반적인 차주의 채무상환능력은 개선되겠으나, 금융완화조치의 정상화 과정에서 과도한 레버리지와 업황 부진에 직면해 있는 일부 가계 및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대외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이러한 내부 취약 요인은 금융시스템의 약한 고리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더욱 예의주시하면서 잠재적 위험에 대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어 “금융은 또한 우리 경제의 신성장 동력을 만들고 발전시키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며 “금융이 혁신의 촉매로서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친환경·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이끌 첨단기술산업 분야의 투자 활력 제고에 앞장서야 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주열 총재는 “새해에는 우리 경제가 코로나의 위험에서 완연히 벗어나 더욱 진일보하는 한 해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하며 신년사를 마무리했다.
한편 올해 범금융 신년인사회도 작년에 이어 코로나19 상황임을 고려해 별도 행사를 개최하지 않고 서면으로 신년사를 공유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