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수 기자
pys@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李, “심리지원 명문화 등 정부 대책 마련 촉구”
“복지부 공문 치료 대상 빠져있어”
13일 이 대표는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정부가 시급히 현장 대응 인력에 대한 심리지원을 명문화하고,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주실 것을 당부드린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사회적 참사는 희생자와 그 가족은 물론, 공동체 구성원 모두의 마음에 큰 상처를 남기기 마련”이라며 "경찰관, 소방관, 응급의료진 등 현장 대응 인력도 예외가 아니다. 오히려 최전선에서 사고를 수습했던 만큼 시급한 심리치료 대상에 가깝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작 이태원 참사 심리치료에 대한 보건복지부의 공문과 가이드라인에는 현장 대응 인력이 대상에서 빠져 있다”며 “‘심리지원 안내 실적 양식'에는 대상자로 포함돼 있으나, 주무 부처 공문과 가이드라인에서 빠진 탓에 일선 현장의 혼란이 예상된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또 “작은 빈틈이라 생각할 수도 있으나, 사고를 반복적으로 목격할 가능성이 높은 현장 대응 인력의 경우 그때그때 치유하지 않으면 트라우마가 누적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이미 이태원 참사 관련 공직자 두 분이 숨을 거두는 안타까운 비극이 발생했다”며 “시급히 현장 대응 인력에 대한 심리지원을 명문화하고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주실 것을 정부에 당부드린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