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수 기자
pys@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尹, ‘文케어 폐기 시사’...“국민들에게 각자도생하라는 꼴”
“박근혜 정부도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추진했던 바 있어”
“尹, 건보 제도의 근간을 해치고 결국 국민에게 커다란 희생을 강요하게 돼 있어
野, 국가 재정 지원법...빨리 폐지를 시키는 게 가장 급선무
고 최고위원은 15일 오전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와의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이 ‘문재인 케어’ 폐기를 시사한 것에 대해 “원인 진단도 제대로 못했고 거기에 대한 방법 도출도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본다”며 “그저 문재인 정부보다 잘했다는 평가를 받고 싶으신 것 같은데 그러려면 새로운 윤석열표의 정책을 내놓으면 된다. 매번 문재인 정부의 어떤 정책들을 이제 밟고 올라가겠다는 모습만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국민들에게 각자도생하라고 강요하는 꼴”이라고 덧붙였다.
고 의원은 이날 “(건강보험 관련 문제) 원인 진단도 제대로 못했고 거기에 대한 방법 도출도 제대로 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매번 보면 문재인 정부의 정책을 밟고 올라가겠다는 모습만 보인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앞서 “지난 5년간 보장성 강화에 20조 원을 넘게 쏟아부었지만, 정부가 의료 남용과 건강보험 무임승차를 방치하면서 대다수 국민에게 그 부담이 전가됐다”며 “국민 혈세를 낭비하는 인기영합적 포퓰리즘 정책은 재정을 파탄시켜 건강보험제도의 근간을 해치고 결국 국민에게 커다란 희생을 강요하게 돼 있다”라고 꼬집었다.
‘문재인 케어’는 건강보험 보장률을 높여 가계의 병원비 부담을 낮추기 위한 문재인 정부의 핵심 정책 중 하나다. 다만, MRI 과다 촬영 등으로 건강보험료 재정이 고갈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고 의원은 “(문재인 케어는)국민들의 의료비 절감을 시켜줬다”며 “아프면 집안 기둥뿌리가 흔들린다는 이야기를 왕왕 하는데, 문 케어 이후에는 가족 중에 암에 걸린 분이 계신 분들은 그에 대한 체감을 굉장히 많이 이야기 했다”고 이같이 설명했다.
‘MRI 과잉진료 등 지적은 일리가 있지 않느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고 의원은 “그러니까 그게 원인을 잘못 지적했다는 것이다. MRI 중 누수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그 금액은 한 2천억원 정도로 추산이 되고 있다”며 “건보 재정이 전체가 한 100조원 정도 되는데, 그중에서 2천억원이면 0.2% 수준에 불과하다. 과연 이 정도를 수술해서 전체 재정 파탄을 극복해낼 방안이라고 생각하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그는 “정말 파탄인가도 궁금할 텐데, 2018년부터 20년까지는 계속 적자를 기록하다가 21년에는 2조 8천억원 흑자로 돌아선 바가 있다. 또 건보의 누적 적립금도 17년에는 대략 20조 7천억원에서 20년에는 17조 4천억원까지 줄었지만 21년에는 20조 2천400억 원으로 오히려 늘어났다. 도대체 뭘 재정 파탄이라고 말씀하는지(모르겠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진행자가 ‘코로나19로 인한 일회성 이슈가 있었다는 주장도 있다’고 말하자, 고 의원은 "그런 부분을 아예 인정하지 않는다는 게 아니라 진짜 원인을 찾자는 것”이라며 “MRI 때문에 건보 재정이 파탄이 났기 때문에 문케어를 다 폐기하겠다는 건 너무 어리석은 결정이라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건보 재정에 대한 민주당의 계획은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일단 가장 지금 당장 시급한 거는 건보 재정에 대한 국가 재정 지원법이 현재 있는데 곧 일몰되지 않나. 이거부터 빨리 폐지를 시키는 게 가장 급선무”라며 “질병이 심화 되면 심화될수록 진료비는 더 급증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조기에 국민들의 질병을 발견해낼 수 있을까, 그쪽에 오히려 재정을 더 넣어야 더 급속도로 늘어나는 것들을 줄여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