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국정조사특위 위원-이태원 참사 유가족 간담회에서 이종철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를 위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국정조사특위 위원-이태원 참사 유가족 간담회에서 이종철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를 위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박희영 기자 | 이태원 참사 발생 이후 유가족과 국민의힘이 처음으로 마주했다. 이날 유가족들은 ‘이상민 행정안전부 해임건의안 철회’ 등을 조건으로 국정조사특위에 참여하겠다며 사퇴 의사를 내비친 국민의힘 의원을 향해 ‘희생자가 협상의 도구’냐며 국조특위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다. 이에 주호영 원내대표는 간담회를 마친 후 여당 위원들의 사퇴 의사를 반려했다고 밝히며 국조특위 ‘완전체’가 이루어질지 주목된다.
 
20일 오후 2시 이태원 참사 유가족 협의회(이하 유가족협의회)와 국조특위 국민의힘 위원들은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만남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간담회에는 주 원내대표와 국민의힘 소속 이태원 참사 국조특위 위원인 이만희·박성민·조은희·김형동 의원, 정희용 원내대표 비서실장 등이 참석했다.
 
주 원내대표는 유가족들에게 “오늘 여러분 요청 사항이나 비통한 마음도 듣고 국정조사나 이런 과정에서 우리 당이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말씀을 듣는 시간을 마련했다”라며 “지금 생각해도 어떻게 대체 이런 일이 대한민국 서울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 상상도, 이해도 잘 안된다”라고 말했다.
 
이어 “수사든 국정조사든 나중에 필요하면 특검 등을 통해 진상을 철저히 밝혀서 책임을 물은 사람들의 책임을 철저히 묻고, 철저한 배·보상을 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촘촘히 짜는 일을 되풀이할 것”이라며 “이런 일을 모든 국민이 오래도록 기억해 두 번 다시 어처구니없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가족들은 입 모아 ‘국민의힘의 국정조사 참여’를 촉구했다.
 
고(故) 이지한씨 아버지이자 유가족 협의회 대표인 이종철 씨는 여당이 국조특위에 참가하는 조건으로 내년도 정부 예산안 처리를 비롯한 야당의 이상민 행정안전부 해임건의안 철회 등을 내세운 것에 대해 항의했다.
 
앞서 여당 소속 국조특위 위원들은 지난 11일 더불어민주당이 단독으로 국회 본회의에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해임건의안을 의결하자, 이에 반발해 집단으로 특위 사퇴 의사를 전달한 바 있다.
 
국민의힘이 국조특위에 불참하자 간담회에서 이종철 대표는 “예산안 심의와 이태원 참사 희생자와 무슨 상관이 있길래 이를 두고 협상하느냐”라며 “희생자들이 협상의 도구입니까”라고 되물었다.
 
그러면서 “국회가 동네 이장회의는 아니지 않나. 저희를 위해 일을 해주셔야 한다. 비참한 일, 억울한 일을 당했을 때 도와달라고 국민들이 당신들을 대표해서 뽑았다”라며 “당장 내일이라도 국정조사에 복귀하라”라고 촉구했다.
 
유가족협의회 이정민 부대표 또한 “새 정부면 이런 참사가 일어나고 국민이 아파할 때 적극적으로 더 나서줄 것으로 믿었다. 그런데 정부나 여당이나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라며 “지금이라도 국정조사를 제대로 해서 아이들이 왜, 어떻게, 무엇 때문에 죽었는지 그 정도는 알아야 하지 않겠나. 제대로 된 국정조사를 해주고 철저히 진상을 밝혀달라”라고 요구했다.
 
한편, 주 원내대표는 간담회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곧 국정조사 특위 위원들의 사퇴 의사를 반려하고, 국정조사에 참여하도록 권유했다고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바로 국조특위에 복귀하나’라는 기자의 질문에 “내일 아침부터 현장 조사가 있다”라고 답했다.
 
국조특위에 따르면 오는 21일엔 이태원 파출소, 서울경찰청, 서울시청을 방문하고, 이틀 뒤인 23일에는 용산구청과 행정안전부를 방문할 방침이다.
 
기관 보고와 관해서는 오는 27에는 국무총리실 등 8개 기관, 29일에는 서울시청 등 10개 기관으로부터 보고 받을 전망이다. 서울경찰청과 용상경찰청은 양일 모두 출석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