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온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협회는 소 값이 연이어 폭락하는 가운데 경영난을 겪던 농민 2명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며 정부가 수급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소 반납 투쟁’ 등 전국적인 집단행동을 취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협회에 따르면 지난 13일 경북 예천에서 한우 번식우 150두를 키우던 농민 A씨가 우시장이 열린 날 폭락한 송아지 가격을 보고 비관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해당 농가는 정부가 추진한 무허가축사 적법화로 인해 새로운 축사를 신축하며 큰 금액의 부채를 안게 됐다고 설명했다. A씨는 금리와 사룟값 폭등 그리고 소 가격 폭락 등이 겹치자 경제적인 어려움을 이기지 못하고 끝내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같은 날 음성에서도 한우농가를 운영하는 농민 B씨가 경제적 어려움을 이기지 못하고 극단적 선택을 했다고 전했다.
협회는 지난 16일 성명서를 내고 “가격 폭락과 농가의 극단적인 선택은 정부의 잘못된 정책으로 인한 인재(人災)”라고 비판하며 정부가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집단행동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이어 “한우 두당 생산비가 1천100만 원인데 도매가격은 평균 700만 원에 불과하다”며 “농가가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도록 내몰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역할은 단순 방관자가 아니다”라며 “지금이라도 한우 수급 안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한우협회는 번식 농가를 위한 송아지 생산 안정제 개선, 수급 안정을 위한 한우 암소 시장 격리, 군 급식 확대, 소비자 유통 개선 지도·점검, 농가 생산비 안정을 위한 사룟값 차액 보전, 범정부 차원의 소비 촉진 대책 등을 요구하는 중이다.
협회 측 주장에 대한 농림축산식품부의 입장은 달랐다. <투데이코리아> 취재를 종합하면 농식품부 관계자는 “협회의 주장과는 다르게 음성에서 사망하신 농민분(B씨)은 지병에 의한 극단적인 선택으로 파악된다”며 “예천에서 생을 마감하신 분(A씨) 역시 협회의 주장과는 다르게 평소 우울증을 가지고 계셨고, 토지를 상당량 보유하는 등 경제적인 여건 역시 극단적인 선택을 하실 정도는 아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고 반박했다.
충북도 축수산과 관계자 역시 “자체 조사에 따르면 B씨는 최근에 뇌수술을 2차례 받으신 후 오는 2월 추가 수술이 예정돼있는 등 지병을 앓고 계신 분이었다”며 “또한 관련 채무가 없었다는 점과 사육두수 역시 많지 않았다는 점에서 소 값 하락으로 인한 선택이었기보다는 지병 악화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예천군 농민 주변인들의 증언에 따르면 “A씨는 세 차례 우울증을 겪어왔다”며 “이번 상황도 경제적인 어려움보다는 우울증으로 인한 것으로 보이나 경찰 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조심스러운 입장”이라고 전했다.
이에 협회 측에 재차 확인한 결과 협회 관계자는 “B씨의 경우 협회 측에서도 인지하고 정정 보도자료를 낸 상태”라며 “A씨에 대해서는 자세한 내용을 확인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발표에 따르면 한우 도매가격은 지난 9일 기준 kg당 1만5247원으로 전년(2만298원) 대비 24.8% 하락한 것으로 파악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자료를 살펴봐도 이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지난 13일 기준 전국 한우 평균 가격은 kg당 1만4583원으로 전년 1만9426원 대비 25%가량 하락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