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주혜 기자
bethy1027@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3일 <투데이코리아> 취재를 종합하면, 금융위원회는 “관련 법령과 그간의 법령해석을 고려한 결과, 신용카드사들이 필요한 절차를 준수해 애플페이 서비스 도입을 추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앞서 현대카드는 지난해부터 애플사와 계약을 맺고 애플페이 출시를 추진해왔지만, 금융위가 약관 외 장기간 검토 작업을 진행해 도입이 불투명해진바 있다.
하지만 금융위가 “향후 애플페이 서비스 출시를 통해 일반 이용자들의 결제 편의성이 제고되고, NFC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결제 서비스의 개발·도입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혀 상용화 길이 열렸다.
또한 정부는 도입을 위해 신용카드사에 소비자 보호 방안을 마련도 주문했다.
금융위는 “신용카드사는 관련 법령 준수와 애플페이 관련 수수료 등 비용을 고객 또는 가맹점에 부담하게 하지 않아야 한다”며 “고객 귀책이 없는 개인정보 도난, 유출 등으로 야기된 손해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국내 아이폰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애플페이의 출시가 임박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네이버 등 일부 커뮤니티에는 “신난다. 애플페이를 빨리 쓸 수 있으면 좋겠다” “대중교통도 이용가능했으면 좋겠다” 등 금융위의 승인을 환영하는 반응의 글이 게재됐다.
다만 카드업계에서는 저조한 NFC 단말기 도입률로 애플페이의 상용화가 난항을 겪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애플페이는 카드 결제 시 NFC를 활용하고 있는데, 국내 대부분의 카드사 및 가맹점이 MST(마그네틱보안전송)나 IC(집적회로 스마트카드)를 사용하고 있어 단말기 보급률이 10%도 안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NFC 방식 단말기의 저조한 보급률은 지난 2015년부터 애플이 국내 카드사들과 해결을 위해 수차례 논의를 이어왔지만, 번번히 실패했던 요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이에 관련 여신업계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결국 현대카드를 제외한 다른 카드사의 가맹점에서도 애플페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지가 관건인데, 가장 큰 문제는 NFC 단말기가 국내에 없다는 것”이라며 “현실적으로 가맹점 측에서 애플페이 고객 유치를 위해 굳이 돈을 더 내고 단말기를 설치하는 것은 어려워보이며, 결국에는 카드사나 애플이 돈을 지불해야 할 텐데 애플 쪽은 그럴 생각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대카드를 제외한 다른 카드사가 현재 결제 시장에서 더 이상의 수익을 낼 수 있는 공간이 없는 상황임에도, 돈을 들여 단말기를 설치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싶다”며 “그것이 삼성페이 등 다른 경쟁상품과 비교했을 때 찾아볼 수 있는 애플페이의 한계”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애플페이 수수료 부담 문제에 대해서는 “수수료 지불의 책임은 고객에게 물을 수 없는 만큼, 결국 손실은 카드사에 전가될 것”이라며 “결국 이를 메꾸기 위해서는 카드사 자체의 상품을 줄이는 등의 방안이 활용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이어 “비슷한 사례로 지난 2012년 여신전문금융업법 개정에 따라 카드사의 수수료가 꾸준히 인하해온 가운데, 가맹점 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취하기 어려운 구조로 인해 각 카드사들이 상품을 줄이거나 회사카드를 없애는 등의 조치를 해오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최근 현대카드가 애플페이 계약 초기 포함했던 ‘국내 배타적 사용권’을 포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금융위가 애플페이 사용권을 독점하고 있는 현대카드가 NFC 단말기를 무상으로 보급하는 것이 ‘리베이트’에 해당할 수 있다고 지적한 것에 대한 조치로 풀이된다
또 이러한 결정에 카드사들도 애플페이 서비스 제휴를 맺을 수 있게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