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수 기자
pys@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金, “한 장관 소송에 국민들이 울분 느껴서 후원금 보내줘”
韓, 김 의원 후원금 남는 장사가 되기 때문 반복
그러면서 그는 "소송을 제기한 한 장관에게 오히려 고맙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대변인은 8일 이날 한 라디오에 출연해 “제가 청담동 술자리 의혹을 제기해서 후원금이 들어온 게 아니다”라며 “한 장관이 저를 형사 고발하고 10억짜리 민사소송을 하니까 그제 서야 후원금이 들어온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제가 의혹을 제기했을 땐 아무 변화가 없었다. 한 장관이 민·형사(소송)를 제기하니까 국민들이 울분을 느끼고 후원금(1억 5천만원)을 보내준 것”이라며 “그 순서가 다르다. 저는 오히려 그래서 ‘한 장관 땡큐다’ 이렇게 생각한다”고 회유했다.
앞서 한 장관은 지난 7일 국회 대정부질문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에서 “(청담동 술자리 의혹으로) 더 탐사는 유튜브에서 큰돈을 벌었고 김의겸 의원은 후원금을 꽉 채웠다”며 “진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도 남는 장사가 되기 때문에 반복되는 거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한 장관의 “남는 장사”라는 발언에 김 대변인은 “정치인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치 활동을 하라고 국가에서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게 정치후원금 아닌가”라며 “그 돈은 다 정책개발비라든지 제가 정치적인 활동을 하는 데 쓰이는 거지, 1원 한 푼 제 주머니에 들어가는 돈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돈벌이가 아닌데 ‘남는 장사’라고 악의적인 프레임을 씌우는 것은 한 장관 고유의 독특한 표현법”이라고 역공했다.
김 대변인은 지금은 청담동 의혹이 사실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첼리스트가 경찰에 (의혹은 사실이 아니라고 진술했다는) 이야기가 나왔을 때 ‘심심한 사과를 드린다’고 공개 사과했고, 그러면서도 “공식적인 (수사) 결과는 아직 안 나온 상태 아니냐”며 “국정감사에서 처음 의혹 제기할 때도 이게 ‘사실이다, 진실이다’ 단정 짓고 질문을 했던 게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이어 그는 “국회의원은 국민을 대신해 물을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권리라기보단 의무”라며 “나름대로 (팩트) 체크를 다 해 봤는데, 국회의원이 보좌진과 함께 확인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기자 입장으로 보면, 간접적으로 취재하다 막히니까 의혹 당사자에게 직접 마이크를 갖다 대고 물어본 것, 그 순서대로 갔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