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훈 기자
xo9568@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태영호, 라디오서 '사과 거부'
김한규 "태영호, 극우에 기대 정치"
유족회는 20일 오후 국회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태 의원은 자신의 망언에 대해 여전히 공식 사과는커녕 뻔뻔스럽게도 소신이라며 (4·3 사건으로 돌아가신) 3만 영령과 10만 유족을 모독하는 행위를 멈추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대표 발언한 김창범 유족회장은 "태 의원이 저지른 경거망동에 대해 우리 유족들은 여전히 분노하고 있다"며 "정치인으로서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면 될 일을 오히려 온갖 요설과 궤변을 이어가면서 역사 왜곡의 선봉장 행세를 하고 있다"고 포문을 열었다.
김 회장은 "이미 국민의힘은 20년 만에 '제주4·3특별법' 개정과정에서 여야 합의로 보상문제와 직권재심 문제를 해결하는 등 4·3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진전을 함께 만들어냈다"며 "윤석열 대통령 역시 당선인 시절 4·3의 명예회복을 위해 중단 없는 지원을 약속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러나 멈출 줄 모르는 태 의원의 망언과 왜곡된 사실 전파는 4·3의 역사적 진전을 가로막는 소행에 불과하다"며 "북에서 잘 못 배웠으면 대한민국 국민이자 의원으로서 이제라도 똑바로 배우면 되지만, 자신의 아집을 여전히 진실인듯 포장하고 있다"고 몰아세웠다. 태 의원은 논란이 된 발언의 근거를 묻자 "북한에서 그렇게 배웠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면서 태 의원을 향해 4·3사건에 대한 망언과 왜곡에 책임을 지고 유족에게 사과하고 최고위원 후보직을 사퇴할 것을 요구했다. 국민의힘 지도부에겐 출당 조치 등을 통한 태 의원의 징계를 촉구했다. 또한 국회 차원의 태 의원 징계와 제주4·3특별법 개정도 압박했다.
한편, 태 의원은 이날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사과해야 한다면 어떤 점을 사과해야 되나"라며 "무고한 제주 시민이 많이 희생됐다는 건 이견이 없지만, 당시 남로당에 의한 경찰서 습격이 평양의 김일성과 박헌영의 결정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것"이라고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이에 회견에 참석한 김한규 민주당 의원(제주 제주시을)은 "지금 다른 (국민의힘) 최고위원 출마자들 중에 이렇게 극우 세력에 기대서 정치 행보를 보이는 분이 없다"며 "태 의원이 (이 시점에서) 이런 발언을 한 것은 극우 세력 표를 얻게 되면 최고위원에 당선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고도로 계산된 정무적 판단"이라고 쏘아붙였다.
아울러 "논점은 (4·3사건 진상보고서에) 전혀 언급되지 않은 북한 김일성에 의해, 남로당(남조선노동당) 중앙당의 지시에 의해서 4·3사건이 발생한 것처럼 태 의원이 이야기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우리는 그 부분이 전혀 근거가 없고 사실과 다르다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