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尹정부 성공 바란다면 모두 대통합 대상”
포용 거절한 李···봉합 가능할까

▲ 김기현 원내대표(왼쪽)과 이준석 당시 국민의힘 대표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뉴시스
▲ 김기현 원내대표(왼쪽)과 이준석 당시 국민의힘 대표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이태훈 기자 | 이준석은 김기현표 ‘연포탕’(연대·포용·탕평)의 재료가 될 수 있을까. 적어도 김 대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14일 오후 황교안 전 대표와 오찬 회동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연포탕 정치에 이준석 전 대표의 자리가 있느냐’는 질문에 “특정인을 지목해서 연포탕이냐, 아니냐에 저는 답변하지 않는다”며 “특정인을 넣으면 연포탕이냐고 거꾸로 질문하고 싶다”고 반문했다.
 
그러면서도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바라고 국민의힘 보수 정권이 내년 총선과 이어지는 지방선거와 대통령 선거에서 이길 수 있도록 공감하는 분이라면, 심지어 민주당 인사라고 하더라도 큰 틀에서 대통합의 대상이 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전당대회 과정 동안 ‘당의 화합’을 최우선 가치로 강조해왔다. 그런 김 대표가 당권을 거머쥔 후 ‘어느 선’까지 포용 대상이 될 수 있는가를 놓고 당 내부에서도 격론이 오가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언급되는 인물은 단연 이 전 대표다. 그가 윤석열 대통령과 강한 대립 각을 세우고 있는 만큼, ‘윤심’을 업고 대표에 당선된 김 대표가 이 전 대표에게 손을 내밀 수 있을지 불투명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김재원 최고위원은 이 전 대표를 향해 “당이 잘되기를 바라서 하는 쓴 소리를 훨씬 넘어서 상당히 문제 있는 발언들을 계속 하고 있다”며 “조금 더 모드를 전환하는 게 좋지 않을까 싶은데, 사람이 잘 안 바뀌니 문제”라고 부정적 시각을 전했다.
 
반면, 김병민 · 태영호 최고위원은 이 전 대표가 다음 총선에서 기여할 여지를 인정하며 변화를 전제로 이 전 대표와 함께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 지도부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는 만큼 김 전 대표의 의중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상황이었다.
 
원론적이긴 하나, 김 대표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만큼 향후 총선을 앞두고 이 전 대표 측과 접촉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또 김 전 대표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갈등을 겪던 윤석열 당시 대선후보와 이 전 대표의 봉합을 주도했던 인물이어서 이번에도 ‘어떤 수완’을 발휘할 수 있을 거란 기대도 잔존한다.
 
다만, 이 전 대표는 ‘이준석 포용론’에 대해 13일 “안철수는 안고 가고, 이준석은 안고 가지 않아야 한다”며 사실상 거절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