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영 기자
heeyoung28@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검사 엄희준)는 이날 오전 특경법 위반(수재 등) 혐의를 받는 박 전 특검(우리은행 전 이사회 의장)과 ‘박영수 특검’ 당시 특검보였던 양재식 변호사를 대상으로 주거지와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 중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이날 확보한 자료를 분석한 뒤 참고인 조사를 거쳐 양 변호사와 박 전 특검을 소환해 조사할 예정인 만큼 50억 클럽에 대한 본격적인 재수사가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 전 특검은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으로 재직하던 2014년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 씨 등이 대장동 개발사업 공모를 준비할 때 부국증권을 배제하는 등 컨소시엄 구성에 영향력을 행사한 의혹을 받는다. 이 같은 컨소시엄 구성을 도운 대가로 50억 원을 받기로 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받는다.
박 전 특검은 2015년 7월부터 특검으로 임명되기 전인 2016년 11월까지 화천대유 고문으로 있으면서 2억5천만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특검의 딸은 화천대유에서 일하면서 2019년 9월부터 2021년 2월까지 11억 원을 받기도 했다.
이날 압수수색 대상에는 우리은행과 양재식 변호사의 주거지와 사무실도 포함됐다. 양 변호사는 ‘정영학 녹취록’에서 대장동 일당이 ‘신의 한 수’라고 칭한 인물이기도 하다.
양 변호사는 박 전 특검이 대표변호사로 있던 법무법인 강남에서 일하며 2016년 특검보로서 박 특검을 보좌했다. 대장동 민간개발업체에 부산저축은행 대출을 알선한 브로커로 지목된 조우형 씨의 변호를 박 전 특검과 함께 맡기도 했다.
앞서 검찰은 이달 8일 김 씨를 대장동 범죄 수익 390억 원 은닉 혐의로 기소한 뒤 해당 수익이 로비 명목으로 ’50억 클럽‘에 흘러 들어갔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자금 추적을 이어왔다.
한편, 검찰은 곽상도 전 의원, 권순일 전 대법관, 최재경 전 청와대 민정수석, 김수남 전 검찰총장, 홍선근 머니투데이 미디어그룹 회장 등 다른 ’50억 클럽‘ 범죄 혐의도 계속 추적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