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영수 전 특검. 사진=뉴시스
▲ 박영수 전 특검.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박희영 기자 | 검찰이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 씨가 대장동 수익을 나눠주기로 약속했다는 인물들을 말하는 이른바 ‘50억 클럽’ 의혹과 관련해 박영수 전 국정농단 사건 특별검사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이로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재판에 넘긴 검찰이 '50억 클럽'에 대한 본격적인 재수사에 나섰다는 해석이 나온다.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검사 엄희준)는 이날 오전 특경법 위반(수재 등) 혐의를 받는 박 전 특검(우리은행 전 이사회 의장)과 ‘박영수 특검’ 당시 특검보였던 양재식 변호사를 대상으로 주거지와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 중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이날 확보한 자료를 분석한 뒤 참고인 조사를 거쳐 양 변호사와 박 전 특검을 소환해 조사할 예정인 만큼 50억 클럽에 대한 본격적인 재수사가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 전 특검은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으로 재직하던 2014년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 씨 등이 대장동 개발사업 공모를 준비할 때 부국증권을 배제하는 등 컨소시엄 구성에 영향력을 행사한 의혹을 받는다. 이 같은 컨소시엄 구성을 도운 대가로 50억 원을 받기로 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받는다.
 
박 전 특검은 2015년 7월부터 특검으로 임명되기 전인 2016년 11월까지 화천대유 고문으로 있으면서 2억5천만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특검의 딸은 화천대유에서 일하면서 2019년 9월부터 2021년 2월까지 11억 원을 받기도 했다.
 
이날 압수수색 대상에는 우리은행과 양재식 변호사의 주거지와 사무실도 포함됐다. 양 변호사는 ‘정영학 녹취록’에서 대장동 일당이 ‘신의 한 수’라고 칭한 인물이기도 하다.
 
양 변호사는 박 전 특검이 대표변호사로 있던 법무법인 강남에서 일하며 2016년 특검보로서 박 특검을 보좌했다. 대장동 민간개발업체에 부산저축은행 대출을 알선한 브로커로 지목된 조우형 씨의 변호를 박 전 특검과 함께 맡기도 했다.
 
앞서 검찰은 이달 8일 김 씨를 대장동 범죄 수익 390억 원 은닉 혐의로 기소한 뒤 해당 수익이 로비 명목으로 ’50억 클럽‘에 흘러 들어갔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자금 추적을 이어왔다.
 
한편, 검찰은 곽상도 전 의원, 권순일 전 대법관, 최재경 전 청와대 민정수석, 김수남 전 검찰총장, 홍선근 머니투데이 미디어그룹 회장 등 다른 ’50억 클럽‘ 범죄 혐의도 계속 추적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